-수II, [미소변화율을 논함 3] • 적용 편
게시글 주소: https://ys.orbi.kr/00067262933
*좋아요와 팔로우는 필자에게 큰 동기부여가 됩니다 :D
바로 문제부터 보시겠습니다, 다음 두 문항을 보고 떠오르는 풀이의 방향성을 정해봅시다!
*다 해결하셔도 좋고, 풀이 방향성만 마음속으로 정하셔도 충분합니다!
1번 문제
-東京工業大学(도쿄공업대학) 본고사 중 발췌
14. a>0, t>0에 대해 정적분 S(a,t)를 생각합니다.
(1) a를 고정했을 때, t에대한 함수 S(a,t)의 최솟값 m(a)를 구하시오. [4점]
(2) 다음 극한을 계산하시오. [2점]
2번 문제
-18.03.30 수학 가형
30. g(x)의 극댓값과 극솟값의 차이를 구하시오. [4점]
다 정하셨나요?
제가 두 문제를 처음에 보고 든 생각을 그대로 적자면
"함수가 간단하네요? 피적분함수는 그릴 수 있다면 그려보는 편이 좋겠어요. ->
1번 문제는 조건에 따라 a를 상수 취급하고 t가 움직임에 따라 관찰해보고,
2번 문제는 x와 y=f(x)를 움직이며 관찰하면 되겠군요!
두 문제의 공식 해설은 다음과 같습니다.
(ハイレベル 数学iii•C 중 발췌)
역시 계산은 조금 많지만, 흠잡을 곳 없는 자명한 풀이입니다.
그치만 저희에게는 이전에 학습한 미소변화율 개념이 있고, 이를 이용한다면 단축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못 보신 분들을 위한 이전 화 링크입니다.
-수II, [미소변화율을 논함] : https://orbi.kr/00066494675
-수II, [미소변화율을 논함 2] : https://orbi.kr/00066523574
두 문제 모두 절댓값이 끼어 있는 정적분으로 정의된 함수이기에, 구간을 나누어 넓이함수를 구하고 미분하는게 출제의도일 테지만,
적분 값을 넓이로 시각화하여 관찰하면 넓이함수의 증감을 바로 알 수 있어요.
2번 문제가 1번 문제의 업그레이드 버젼이기에, 2번문제를 분석하고 1번문제의 해설은 아래 Solution에 추가했어요
|f(t)-f(x)|를 구간 [0,x] 에서 적분한 함수가 g(x)이니
조금씩 x를 키워가며 넓이함수를 관찰하겠습니다.
이 행동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0<x<1]일 때 x가 커짐에 따라 y=f(x) 기준선은 위로 올라가며, 넓이의 왼쪽 부분 A는 빨간 형광펜만큼 계속 증가함을 알 수 있습니다.
즉 g(x)는 [0<x<1]에서 증가합니다.
X=1을 넘어서는 순간 기준선 y=f(x)의 운동방향이 아래로 바뀌고, x가 진짜 엄청 미세하게 커짐에 따라 A부분의 넓이는 파란 형광펜만큼 줄고, B 부분의 넓이는 빨간 형관펜만큼 늘어납니다. * 파란 형광펜 부분을 dA, 빨간 형광펜 부분을 dB라 하겠습니다.
기준선이 아래로 이동한다고 할 때, 사진에서 더 움직여도 감소하는 넓이 dA가 증가하는 넓이 dB보다 크기에 총 넓이함수는 (1<x<1+ε) 에서 감소합니다. *(ε는 적당히 작은 양수)
즉 g(x)는 (1<x<1+ε) 에서 감소하며, X=1에서 넓이함수의 증감이 바뀌므로 x=1에서 극대입니다.
이후 언제가 넓이함수의 증감이 다시 바뀌는 지점일까요?
dA>dB일땐 쭉 감소하다가 dA = dB를 거쳐 dA<dB이면 증가하겠군요.
즉 넓이함수의 극소는 dA = dB 일 때겠군요. +(사족)이로 대강의 g(x)의 개형도 그려낼 수 있습니다
(TMI) 실제로 그린 g(x)의 개형 (A의 자취)
dA와 dB는 x좌표 차이가 가로인 미세한 직사각형인데, 세로는 함께 같은 속도로 움직이니 같다고 하면 x좌표차이가 같은 부분이겠군요.
X절편 차가 동일함 + 함수가 x=1 선대칭임을 이용하면 극소가 x=4/3에서 생김을 알 수 있고 적분을 계산하면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Solution) 02번 문제
Solution) 01번 문제
(저는 1번 문제의 함수 표현 S(a,t)가 마음에 들더군요..! 한 변수 고정하는 부분을 언급하지 않았어도 두개 이상의 변수 *특히 기하(평면벡터)등에서 스스로 한 변수를 고정하고 다른 하나를 움직여 보면 좋아요! )
긴 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D
정성이 들어간 글인 만큼 여러 번 연습하면 꼭 본인의 것으로 만들 수 있을거에요
0 XDK (+28,000)
-
17,000
-
5,000
-
5,000
-
1,000
-
서울과기대 학사 졸업 고려대 석사졸업 후 스탠포드 박사 풀펀딩 진학까지 합격수기...
-
이 정도면 1
화작확통세지사문 98 89 1 98 96이면 어디정도 가요
-
내신때 풀었는데(왜 한국사 내신 상대평가를 고3때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죽을뻔함
-
이제 수능에서 과탐말고 사탐 해야하는 이유 그리고 사탐에서 추천하는 과목과 과탐을 선택한다면 해도 되는 과목과 안 되는 과목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3
제가 정확히 아는건지는 모르겠지만 얼추 들은 걸로는 1. 대학에서 과탐 가산점을...
-
화1이라는 제가 사랑하는 과목이 작년에 사망하게 되어서 이과목을 살리는데 조금이라도...
-
다들 생윤하세요 0
현돌 유빈이컨만해도 1등급 보장되는 꿀과목
-
1. 16학년도까지는 한국사가 사회탐구 영역 선택과목이었는데, 투과목마냥 서울대...
-
왓 1
-
반수드가자 5
출격
-
예상댓글: 넌 주식하지 마라
-
만약 올해도 찍맞으로 미적 안락사해주면 하는 게 바보수준임 4
설마 올해도 찍맞으로 안락사 시키겠냐 ㅋㅋ
-
1컷 45 240914 충청남도가 1인당 GDP 지자체 2위라는 간단한 사실만 알면...
-
점수도 재밌게 나옴 삼수 > 재수 > 올해 > 현역
-
3컷 34 4컷 22 그나마 어려운 4페 다 버려도 3등급,찍맞 잘하면 2등급...
-
화1해줘 0
제발 내가 제일잘하는게 이건데 죽었어
-
말 그대로 정시 의대는 몇명뽑고 정시 치대는 총 몇명뽑고 이런거 학교별 말고 총인원이요
-
어질어질하네 과외맘이 끝나고 호빵 먹고 가라해서 의대 관련 잡얘기 추가로 30분 정도 해주고 옴
-
그러니까 2
일단 경제 기하 쌍사 피하면 되는거죠??
-
그런 아이디어들도 있지 않나요
-
김젬마t 1
얘들아 대성 김젬마는 별로임? 어떰? 안들어봐서 모름
-
뻥임
-
ㄹㅇ
-
출첵할때 옆에 학생 나이정보도 있나요? 조교하신분이나 아는분답변좀요ㅠ
-
안해봤는데 바이럴하고싶었어요
-
지방 붕괴 가속화는 인구 감소에 의한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생각해요 이전에는 서울로...
-
24수능 21 막판 실모에서 10번은 넘게 본듯 ㅋㅋ
-
마스크걸 안 봤는데 재밌나요
-
위잉위잉 0
위잉위잉
-
전 귀찮으니까 누가 해주세요
-
근데 알바 대부분 3개월 이상이던데 대학다니면서 병행됨? 1
대치쪽 알바하면
-
추합 가능할까요.. 작년에 7명 재작년에 23명이라 진짜 감이 안잡히네요
-
님들아 생각을 해보셈 대체 얼마나 쉬웠으면 1컷 48 2컷 45일지를… 이건 진짜...
-
진짜 구라 안 치고 얘 변형만 몇십개 본 듯. 심지어 수2에서도 발견 함 ㅋㅋ 저게...
-
닉변했음뇨 6
허수물화러>>5색형광펜열품타17시간담요단
-
수학실모추천좀 5
네
-
자전 vs 공대 0
서울대 자전 컷이 높공 컷보다 높나요 ?? 공대도 컷이 다 다를텐데 구체적으로 공대...
-
세상에문제에답이적혀있어요
-
3등급까지 점수가 그냥..말이안됨 34점만 받아도 3등급이란거임
-
컴공, 전전, 통계 중에 어떤게 복전했을 때 가장 좋을 것 같나요?? 지금 본전공이...
-
개멸치 2
본인 176-7에 51-49왔다갔다하는데 체질적으로 안찌는살 억지로 찌우면 안될거...
-
솔직히 올해 4페이지에는 개념형문제밖에 없었다고 생각함 반박시 사탐런한 이단 분탕종자로 간주함 ㅇㅇ
-
알바 벌이 적당 5
어느정도라 생각함? 한달
-
전 못 풀었어용
-
흐흐흐
-
5색형광펜순공17시간담요단
-
아니면 서성한 낮과정도
-
글 자체가 참 좋음… 삶은 언제나, 어디서나 계속된다. 아우슈비츠에서도 일상은...
드디어 적용탄이 나왔군요 가장 기대하고있었습니다 진짜 이칼럼은 제 수학의 시각을 넓혀줬으니 잘보겠습니다
저야말로 영광이네요!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편하게 물어봐주세요 :)
선댓후감
미소변화율 항상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감사드려요 선생님 :)
이거보고 주머니에서 공이나 뽑기로했다
왜 평면으로 수선을 안내리고 그런걸
동경일공의 공 아닌가용
역시 수학고수
사설 실모나 엔제에서 많이 써먹었는데 많은 분들이 얻어가셨으면 좋겠네요~^^
Sec(x)
짖짜 뇌를 꺼내서 저한테 이식하고싶어요
대 약 연
약선생님 좋은 글 감사합니당
저야말로 도움이 되었다면 기쁘네요
우와!
대 대 대
한의대 걸어두시나요
약연님 시.반(국가권력엔수생어쩌고)님이 이거좀 물어봐달랍니다
강의는 마지막에 나온다고 전해달라네요
https://youtu.be/9EOzb5wCSN4?si=3B1ZDrTpoDF_flU-
g'(x)를 수식으로 표현할 때, 미소변화량을 세로가 적당히 작은 직사각형으로 근사하였다고 생각하면 가로 × 세로인데, 도함수의 정의가 접선의 기울기이고, 접선의 기울기를 삼각비로 표현하면 아래 그림처럼 델타h/델타x로 표현할 수 있고, 델타S = 길이 × 델타높이 인데 양변을 델타x로 나눠 표현하면
넓이의 미소변화량 = 가로길이 × 도함수가 되는군요!
단! 이 경우는 기준선의 운동방향이 축과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어 미세한 직사각형으로 근사, 위와 같이 도함수를 직관적으로 뽑아낼 수 있는것이지, 미소변화율 칼럼 1편의 극좌표에서의 근사에선 사용하기 곤란하군요..
헉 이걸 이제보다니..
미소변화율 3도 잘 보고 갑니다..ㅎㅎ
저야말로 도움이 되었다면 기뻐요
영광이에요
미소변화율에서 도함수값을 구할 때 이렇게 변수가 상수라서 일직선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길이가 넓이변화율 즉 도함수값임을 알겠는데 위 가형30번이나 저번 칼럼 ebs문제처럼 변수가 기울기라던지 직선이 아닐 때에는 길이=변화율(도함수값)이 성립하는지 아니면 어느정도 바례하지만 정확히 일치하진 않는 건지 궁금하네요
지난 칼럼의 경우 아래 이미지처럼 기울기를 조금씩 키우며 미소변화량을 닮음 삼각형(혹은 부채꼴)로 "근사"하였기에, 도함수값을 정확히 추출할 수는 없지만, 증감 변화의 경계가 되는 극값을 찾기는 가능한 것이에요.
다만, 위 사관학교 문항 혹은 이번 칼럼의 문항처럼 미소변화량이 축과 평행/수직한 경우에 한해서 극값조사와 더불어 도함수값을 길이로 추출할 수 있는것입니다.
:)
궁금증이 해결되셨기를 바라며, 혹시 더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편하게 물어봐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