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로잉북 [286041] · MS 2009 · 쪽지

2012-10-31 20:39:35
조회수 3,605

경제: 규모의 경제와 한계비용체증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ys.orbi.kr/0003153406

수능이 얼마 남지 않아서 답글이 달릴 지는 모르겠지만 질문 올립니다...^^;

규모의 경제를 나타내는 평균비용-생산량 그래프에서 생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평균비용이 하락할 때를 A구간(규모의 경제 실현 부분), 평균비용이 저점을 찍고 상승할 때를 B구간이라고 가정했을 때요. <한계비용이 체증하면 B구간이 나타난다>는 진술은 틀린 것 아닌가요? 또는 다른 말로 <규모의 경제가 나타나는 재화의 경우 한계비용 체증의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진술도 틀린 것 아닌가요?

평균비용이 하락하려면 한계비용의 체증 여부가 중요한 게 아니라 한계비용이 기존의 평균비용보다 낮아야 하잖아요(ex. 반 평균을 떨어뜨리는 전학생..ㅋㅋ). 그러니까 전기나 수도처럼 애초에 초기 고정 비용이 엄청난 재화의 경우 한계비용이 체증해도 평균비용에 훨씬 못 미치기 때문에 한계비용 체증의 법칙이 성립함에도 불구하고 규모의 경제가 성립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모 강사의 파이널 교재에 있는 문항인데, 교재만 샀더니 이해가 안 되네요. 혹시 시간 내서 답변 달아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유식 · 283492 · 12/10/31 21:31 · MS 2009

    '한계비용이 체증하면 B구간(즉 생산량을 늘릴수록 평균총비용이 증가하는 구간)이 나타난다.' ->* 한계비용체증은 언제나 나타는 현상*인지라 이것을 규모의 비경제의 인과적 원인으로 말해버리는 건 좀 문제가 있지 않나 싶어요..
    .
    '규모의 경제가 나타나는 재화의 경우 한계비용 체증의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 틀림. 규모의 경제란 한계비용<평균총비용인 구간으로서 산출량이 증감함에 따라 (장기)평균총비용이 하락하는 현상을 말하는 것이죠. 앞서 말했듯이 한계비용은 언제나 증가해요. 규모의 경제든 비경제는 언제 한계비용은 체증합니다.

    평균총비용 한계비용 가지고 이것저것 분석하고 애기하는게 고등학교 경제에도 공식적으로 나오는 내용인지는 잘모르겠네요;;

  • 드로잉북 · 286041 · 12/11/01 08:17 · MS 2009

    저도 규모의 경제랑 한계비용체증은 관련 없는 독립 개념으로 알고 있었는데 이 책은 왜 이렇게 된 건지...어쨌든 답변 감사합니다.

  • 노력하라 · 412598 · 12/11/01 23:19

    규모의 경제가 나타나는 재화의 경우 한계비용 체증의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맞는것 같은데...ㅠㅠ
    규모의 경제가 나타나는 예들은 생산량이 많을수록 한계비용이 줄어드는거 아닌가요?ㅠㅠ
    문외한의 한계인가....

  • 이유식 · 283492 · 12/11/02 12:20 · MS 2009

    그 비용이 말하는게 ATC 평균총비용을 말하는거지 한계비용을 말하는게 아니에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