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이란 무엇인가? - 6편
게시글 주소: https://ys.orbi.kr/00024314406
2017학년도 6평에 '퍼셉트론 지문'이라 하여 인공신경망, 즉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지문이 나왔었습니다. 해당 지문의 주제는 '어떻게 하면 컴퓨터가 학습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였습니다. 해당 주제에 대한 답은 '출력값과 정답이 같아지도록 가중치를 계속 조정한다' 였습니다.
(많은 학생들에게 충공깽을 날렸던 해당 지문의 19번 문제. 그런데 주제를 파악했다면 좀 더 쉽게 풀어낼 수 있었을 것입니다)
수능 국어 지문에 대한 분석은 나중에 제가 쓰는 책과 더불어 자세히 할 것이고, 이번 시간에는 해당 지문이 말했던 '가중치'에 대해서 고찰하는 기회를 가져보겠습니다.
'출력값이 정답에 수렴하도록 가중치를 끊임없이 조정한다'는 말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왜냐하면 인간 또한 마찬가지로 가중치를 계속 조정하는 연습을 통해서 정답에 더 가까워지기 때문입니다.
여러가지 예시를 들 수 있습니다. 양궁을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처음 화살을 쏜다면 아마 과녁에 빗맞을 확률이 더 높을 것입니다. 처음 한번 시험삼아 쏴봤는데, 너무 아래쪽으로 휘어져버렸습니다. 그럼 다음에 쏠 때는 좀 더 위쪽을 향해서 쏘겠죠. 그런데 두번째로 쐇더니 이번에는 과녁에는 더 가까워지긴 했습니다만, 이번엔 위로 빗나가버립니다.
그래서 이런 과정을 끊임없이 반복하여 방향과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하면서 목표에 더 정확히 명중하도록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야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이 풍부하다면 다음에는 오차를 수정하는 일을 적게 하고서도 빠르게 명중시킬 수 있습니다.
(정확한 명중을 위해 계속해서 오차를 수정하는 모습)
제가 전쟁사를 연재하니까 밀리터리로도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양궁과 비슷하게 원거리에서 적을 포격하는 임무를 맡은 포병은 실제로 관측과 사격을 하는 일을 어렵게 여깁니다. 바람의 방향이라던지, 상대방 위치의 불확실성, 아군 포탄의 산포도 등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그래서 지금의 현대처럼 사격관제시스템이 발전하지 못했던 시대에는 관측병이 직접 눈과 망원경, 연필을 이용해서 상대방의 위치를 측정하고 포격지점 좌표를 전달했습니다. 그 좌표를 보고 포병은 사격을 가했는데, 첫번째의 초탄은 빗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럼 포병은 그 초탄과 목표의 차이를 확인하고, 다시 각도와 방향을 재조정하여 쏘았습니다. 이렇게 계속해서 조금씩 오차를 수정해나가면서 목표를 향해 쏘면, 포탄은 자연스럽게 목표에 가까워지고 결국에는 명중합니다.
태평양 해전 초기에도 해안포를 이용한 함선 명중은 어려운 일이었으며, 지속적인 사격을 통해 목표와의 오차를 확인하고 수정하면서 정확도를 높였었습니다.
(지금은 기술력의 발전으로 빠른 상대방 위치 추적과 정확한 타격이 가능하나 과거에는 많이 쏴재끼면서 오차를 수정하며 목표에 도달했습니다)
결국 인간이 FPS 게임을 하든, 해안포를 쏘든, 양궁을 하든 어떤 활동이라도 한번에 처음부터 정확히 목표에 도달하는 일은 적을 것입니다. 많은 연습과 시행착오를 통해서 경험을 쌓고, 지속적인 피드백과 수정을 통해 오차를 줄이고 정확성을 높여야하죠.
결국 이런 점을 본다면 인공지능의 학습은 우리 인간의 학습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적용시킨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는 감각적으로 알고 있으며 여태 무의식적으로 해온 활동이지만, 인공지능에게는 아주 혁명적인 발전이겠죠.
전쟁사 시리즈(약 11편 예정)
https://orbi.kr/00020060720 - 1편 압박과 효율
https://orbi.kr/00020306143 - 2편 유추와 추론
https://orbi.kr/00020849914 - 번외편 훈련과 숙련도
https://orbi.kr/00021308888 - 3편 새로움과 적응
https://orbi.kr/00021468232 - 4편 선택과 집중
https://orbi.kr/00021679447 - 번외편 외교전
https://orbi.kr/00021846957 - 5편 공감과 상상
https://orbi.kr/00022929626 - 6편 정보전
https://orbi.kr/00023174255 - 7편 실수와 인지오류
https://orbi.kr/00023283922 - 번외편 발상의 전환
https://orbi.kr/00023553493 - 8편 준비와 위기대응
https://orbi.kr/00023840910 - 번외편 비전투병과
https://orbi.kr/00024082234 - 9편 예상과 예측
https://orbi.kr/00024160983 - 10편 신뢰성
알고리즘 학습법(4편예정)
https://orbi.kr/00019632421 - 1편 점검하기
학습이란 무엇인가(11편 예정)
https://orbi.kr/00019535671 - 1편
https://orbi.kr/00019535752 - 2편
https://orbi.kr/00019535790 - 3편
https://orbi.kr/00019535821 - 4편
https://orbi.kr/00019535848 - 5편
https://orbi.kr/00022556800 - 번외편 인치와 법치
삼국지 이야기
https://orbi.kr/00024250945 - 1편 일관성과 신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굳이 링크 넘어갈 일이 없어서 좋은데 틀딱이 왜 요기에 아직도
-
진짜 빠진걸까요? 뭐지
-
'전기장의 크기가 클수록 증배계수는 증가하여' <<< 이런 표현 나오면 다...
-
지금 내 상황 3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당신과 제가 함께 보낸 세월도 고통이었습니까?
-
얘는 착하고 공부도 잘하는데 잠이 많은 학생 이었습니다 아침조례에 자고 하교할때 깬날도 있어요
-
한동안 안들어가서 ㅁㄹ겠음
-
교차는 안하는게 맞지않냐
-
ㅈㄱㄴ
-
[D-4] 2025 서울시립대학교 오픈 캠퍼스 투어 1
[2025 서울시립대학교 오픈 캠퍼스 투어] 안녕하세요! 함께 꿈을 이루어 나가는...
-
번역 연습 중 1
遠い夏の小さな記憶は 靴ひもを結んであげるところから始まるのだ 大切に失くさずに忘れずに...
-
저는 니코틴 섭취했어요
-
2025-2008학년도 평가원 문학 모음입니다. 2025학년도 수능 추가했습니다....
-
에휴 0
그래 그래 백분위 90 정도인데 깝쳐서 미안하다 칭찬해달라고 한 것도 아니고 ㅉ
-
한달임 아 ㅋㅋㅋㅋ
-
배고파가지고 일어나자마자 햄버거시킴......
-
오르비수만휘빡갤윤통시 다 하는 애 있었음
-
맞추면 1000덕
-
정말 야만적이군요
-
뜨자!!!!!!
-
2025-2011학년도 평가원 독서(비문학) 모음입니다. 수능 추가했습니다....
-
물화생에서 물생지로 바꿨는디 그래도 바꾸고 지구 1등급이긴함 총내신 3.0x정도 하는데 bb뜨겠져?
-
서울대 때문에 투투 할려하는데 투과목 2개좀 추천좀 해주세여~ 물론 올해 가면...
-
으흐흐 여붕아 0
오늘 걍 교사경 풀어야지
-
나보러 온게 아닌게 존나 슬프네 씨부랄거
-
간짜장을 못 먹었어요
-
제발
-
다들 붙거라.
-
집중하세요
-
에휴다노
-
ㄷㄷ 2
는 괜찮나요
-
서울대학교 3
공대가려고해도 투과목이 필수인가요?
-
비틱?
-
에휴다노에서 5
다노는 그럼 보조사인건가 에휴가 독립어인데
-
뉴비등장 4
점김뭐먹지
-
쓰담쓰담해죠...
-
서울대는 듣거라 1
조발.
-
생명 질문 3
막전위 근수축 유전을 방학에 끝내야한다고 들었는데 3단원이 내용 전체가 막전위...
-
건대 설마 5
딱 2시에 발표하려나..? 명문대면 1시 조발 해주겠지?
-
요즘 자극이 잘 안오던데 부럽군
-
추워서 언제할까 고민했는데 지금하는게 나을듯 음음…
-
ㅈ됐다 11
배 벌써 존나 땡긴다 시발시발시발아파아파아파
-
오늘 결과 나오면 저랑 연락했던 수단 (쪽지 / 카톡)으로 합불 여부 알려주세요....
-
뀨뀨 6
뀨우
-
오늘은 12시간 공부 찍고싶다 그리고 앞으론 글리젠도 개같이 박은거 점심엔 안들어온다
-
고전시가에 나오는 한자같은거 다 외워야하나요? 문제 풀때 한자들땜에 해석이 안되는데
-
EBS는 어쩌지 2
분석후 암기?
-
원서까지 다 끝냈는데 또 기숙사 발표까지 마음 졸이고있네… 제발제발 안되면 나 고시원이야 제발
-
유빈에 역학의 기술 없음?? 내가 못 찾는건가
요글엔 댓글이 없네요.
항상 좋은 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밌게 보고있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