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벤타도르 [432326] · MS 2012 · 쪽지

2016-01-19 17:50:51
조회수 3,663

서울대 일부 전형의 양면성에 대하여...

게시글 주소: https://ys.orbi.kr/0007667078




서울대 지역균형 전국 1,2등도 수능 최저기준 미달

학교간 성적차 뚜렷...2015 서울대 수시 지균 수능 최저 미달자 전체 45.6%에 달해



6일 국감에서 공개된 '서울대 지역균형선발 입학생 현황'에 따르면, 2013-2015에 걸쳐 서울대 수시 지균형 수능 최저 미달자가 2013년 504명, 2014년 686명, 2015년 1101명에 달해, 2013년 전체 지원자의 21.0%를 차지하던 것이 2014년 28.0%로 증가, 2015년 기준 전체 지원자의 45.6%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2013년 2개 영역 2등급이었던 것이, 2014년은 같은 조건이라도 수준별 수능시행에 따라 최저 미달 비율이 소폭 상승했고, 2015년은 3개 영역 2등급으로 등급 최저 조건이 강화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연대 수시 일반전형의 경우 인문계 4개 영역 등급합 6 이내, 자연계 4개 영역 등급합 7 이내이며, 고대 수시 일반전형은 인문계 일반학과 3개 영역 2등급, 경영 및 정경 등은 3개 영역 등급합 5 이내로 서울대의 현해 수능 최저 기준은 경쟁 대학에 비해 그렇게 높은 조건은 아니다.


그러나 서울대 수시 지역균형선발 전형의 지원 자격이 학교별 2명 이내로 추천이 제한되는 관계로 사실상 고교별 학교 내신 전교 1등과 2등이 지원하는 것을 고려하면 2015 기준으로 서울대 지역균형선발전형으로 지원하는 고교 가운데, 전교 1, 2등 중에서 수능 3개 2등급을 맞추지 못하는 학생이 거의 절반(45.6%)에 이른다는 얘기다.


정시철이 끝나가고 거의 수능 만점에서

몇개 실수하느냐에 따라 서울대 합/불합이 갈리는 와중에

오르비의 영원한 떡밥, 수시논란 그중에서도 서울대 지균에

대해서 정리하는 글을 보았네요.

(http://doshin38.blog.me/220502064595

http://blog.naver.com/jihorak4u/220563016734)

보는바에 같이 서울대 지균전형 최저 2등급 2개이던 시절

최저미달자 비율은 약 20%정도였군요.

2등급 3개로 바뀌는 당해부터 최저미달자가 거의 전체의

절반이상... 사실상 2등급 3개면 인서울 중위권도 안되는 성적인데

저 성적도 안되는 지원자들이 일반고에서 내신빨 앞세워서

지원을 한 것으로 추측... 최저 겨우 턱걸이로 통과한 지원자들

비율까지 감안하면 지역균형 학생들의 퍼포먼스가 이해가 안되네요.

물론 수능만점자 중에서도 지균합격생이 나올 정도로

뛰어난 학생들을 선점할 수 있다는 점이 서울대 수시전형(지균,일반)의

강점이라고 볼 수 있지만...

대한민국 원탑대학이라는 점에서

매년 고교별 서울대 합격자 숫자 이런것들이

큰 의미를 가질정도인데

상식적으로 3년간 내신을 저렇게 타이트하게 관리하고

3년간 중간기말 총 12번의 기간동안 지옥의 시간을 보낸다 항변하는

지역균형 지원자들의 수능점수 격차가 왜 저렇게 현격하게

차이가 나는지 이해가 안되는 부분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그밖에 12년 재외특례나 일부 정원외 특례에서도

말도 안되는 (ex 탈북자전형 수능 4등급 서울대 의대) 일부 케이스에 대해서 

다들 어떻게 생각하는지 듣고싶네요.


요약 : 서울대 수시 전형의 양면성

일반전형 : 특목고(외고 과고) 휩쓸기

지역균형 : 심한 수능 격차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Ibro · 635579 · 16/01/19 17:54 · MS 2015

    딴건 제쳐둬도 기회균등은 안건드는게 맞음 ㅇㅇ 어차피 정원외로 뽑는거고, 나름대로 힘든 삶을 살았으니까 인정하는게 맞지않나? 말도안되는건 우리입장이고 ㅇ

  • 아벤타도르 · 432326 · 16/01/19 18:21 · MS 2012

    그 상황이 안되보면 그들에 삶에 대해 말해선 안되고 나름 힘들게 살았던 학생들 중에서도
    노력해서 어느정도 성적대가 되는 경우엔
    문제가 안된다고 저도 생각합니다만
    다만 어떤 특혜를 받는 전형의 지원율을 보면
    의대나 상경계열 등 각 대학 간판학과들
    비율이 현저히 높아요. 각 대학 재외특례부터
    탈북자전형 각종 정원외 특례(물론 특례에서 뿐만 아니라 정원내 전형에서도 인기학과들 경쟁률 높은건 당연하지만) 이런 말하긴 뭣하지만
    세월호 특례로 연고대 및 중경외시 간 분들까지
    비인기과 지원한 케이스가 극히 드물어요.

    못살았다는 것만으로 주는 특혜치고
    과하다고 생각되지않나요?

    다수의 어려운 환경(기초생활수급가정
    차상위계층)의 학생들중 대다수는
    저런 특혜는 커녕 지금 이시간에도
    어딘가에서 방황하고 있을겁니다

    돈없는 학생들을 위해서
    사교육으로 인한 격차를 줄이려
    교육부에서 EBS연계나
    이런저런 부분에서 힘쓰고 있고
    노가다 뛰면서 의대간 박ㅈ영 씨란
    분도 그모든걸 극복하고 수능으로
    의대를 갔지않나요?

    입시경쟁 과정에서 어떤 지원이나
    누구나 무료나 싼 가격에
    인간을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거나
    질높은 컨텐츠나 인강 학습비 등을
    어려운 형편의 학생들에게
    더욱 넓혀 지원하는 방식으로
    가야지

    노력의 결과를 겨루는 부분에서
    이 학생은 어려운 환경에서
    공부했으니 외국에서 있다왔으니
    탈북자이니 특헤를 주는거다라고
    애초 경쟁을 갈라서 한 집단에
    과한 특혜를 주는 것은 잘못되지않았나요
    농어촌전형처럼
    그것도 어느정도 수준이 되어야지

    말많은 정원외 특례 일부는
    정말 문제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지역균형에 대해
    제일 많이 다룬 글인데

    기회균등 등 정원외에 대하여
    쓰셔서 제 생각을 말해봅니다

  • Ibro · 635579 · 16/01/19 18:48 · MS 2015

    흠 이 문제 관련해서는 생각이 다들 다르긴 한데 아직 농어촌이나 새터민 등등이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건 사실이고 그들을 배려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 계층중 대학을 쓸 생각도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는게 혜택을 줄여야 한다는 근거인지는 모르겠네요

    그리고 노력으로 그러한 어려움을 극복한 사람이 있다고 혜택이 필요없다는 것은 알맞지 않은 것 같습니다. 오히려 저런분들이 특혜의 필요성을 말해주는 것 아닌가 하네요. 저렇게 남들보다 더 고생하지 않아도 원하는 것을 하고 고난을 벗어날 수 있게 말이죠

    왜 사회학에 보면 긍정적 차별이라고 하던가요 지금까지 차별을 받았거나 어려움에 있는 사람들을 위해 특혜를 줄때는 다른 사람과 동등한 정도를 넘어서 줘야한다 뭐 그런 논리인데 그게 맞다 틀리다 말은 못하지만 이러한 논리로 생각하면 이해할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 아벤타도르 · 432326 · 16/01/20 01:25 · MS 2012

    농어촌이나 차상위 기회균등에 대해선 이해가 됩니다만
    그들이 정시보다는 성적대가 약간 낮아도 서울대에 갈만하다는
    실력이 뒷받침하고 대학에서 수학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탈북자 새터민 전형은 그 상태가 심각한거 같더라구요.
    특히 확인도 안되는 북한에서 어디어디 대학을 다녔다라고
    써봐도 확인도 안되는데 서울대 의대 입학한 새터민이
    영어를 몰라 수업이 진행이 안될정도라고 하니
    (북한은 거의 순우리말 위주로 사용하는 반면
    한국은 길거리 간판조차 영어가 제2외국어처럼 쓰이는 판이라서
    그 격차가 더 심하다고 하더라구요)

    새터민전형이나 재외특례 중에서 대학 수업을 따라가지못해서
    중도포기하거나 제적당하는 비율이 다른 전형들에 비해서
    현저하게 높아 부작용이 있는 전형들의 경우는
    손을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수능만점받고도 설의못간 갓봉열같은 사람도 있는데

    너무 극과극인 예이지만

    특혜도 어느정도 납득이 가능한 수준에서 필요하지

    어렵다고 특혜를 저런식으로 주는건 아니라고 보는거죠.

    재외특례든 새터민이든 뭐든간에

    과정에서 지원을 해줘야지 결과로 무조건 한두명은 뽑는데

    해당 모집단의 수준이 현저하게 떨어질 경우엔

    과한 특혜란 말이 나올 여지가 있지않을까요? ㅎ

  • 야간알바 · 485345 · 16/01/25 19:43 · MS 2013

    갓봉열은 뭐 다른사람때문에(다른전형때문에) 불이익본게 아니라

    자기가 면접 조져서 떨어진걸로 아는데 아닌가요?

    여기 나올 케이스는 아닌거같은데

  • ZQezxhLGrTjFPy · 639937 · 16/01/19 18:04

    그럼 너도 후진 지역가등가

  • 아벤타도르 · 432326 · 16/01/19 18:24 · MS 2012

    그러게요 ㅎ

  • 매직K · 482264 · 16/01/19 18:06 · MS 2015

    수능도 경쟁력 있던 이과지균이 진짜 수능에서 최저 미끄러진 경우를 너무 많이 봐서리...  특히 작년 수학...게다가. 과탐2는 학교에서 진도도 안 나가고 난이도 정보도 모른 채 화2, 물2 겁도 없이 하다가 ~~

  • 수시로끝냈다 · 569866 · 16/01/19 18:15 · MS 2015

    일반전형은 빠지겠습니다 ㅠ 키배 무서워서

  • THE ECON · 487503 · 16/01/19 18:33 · MS 2014

    지균 만드신 총장 분은 지금...ㅋ
    밑밥깐거 아닌가 싶은...

  • 샤미 · 581154 · 16/01/22 20:08 · MS 2015

    오히려 지균 1차 합격자들이 수능에서 걸러진다는 점이
    약간이라도 변별력이 존재한다는 것에 대한 반증이 아닐까요?

    현존하는 제도 중에 가장 합리적일 뿐, 수능 점수가 실력의 절대적인 척도라고 생각하지 않아서
    지금까지는 지균이라는 전형 자체를 그렇게 부정적으로 보지는 않았는데 이 글 보고 여러 생각이 드네요

  • 설인문수석희망 · 573584 · 16/01/25 21:12 · MS 2015

    그나저나 지균 정시이월인원을 100% 최저 못맞춘 인원으로 보기도 힘들어요. 제가 알던 어떤 분은 지균 최저 맞추셨는데 떨어지셨고, 해당 모집단위에서 정시이월 1명 나왔음...;;;;; 그때 서울대에 참 어이가 없었죠;;

  • 아벤타도르 · 432326 · 16/01/25 21:20 · MS 2012

    그건 맞는 말이죠. 근데 최저되고
    지균떨어지는 사람이 많진 않을겁니다
    나머지 자리 차지할 인원은 충분한데
    대다수 최저 미달로 떨어지는거라고
    보면 됨... 제 고향 이번 년도 나름 변별력
    있게 나오니 중하위 고교 지규너들
    다 떨어진듯 최저미달로 ...
    어찌 됐던간에 지균 전체 지원자중 45.6%가
    서울대 최저 기준에 턱걸이도 못한다는건
    팩트인게 중요하죠

  • 설인문수석희망 · 573584 · 16/01/29 23:13 · MS 2015

    지균 전체 지원자의 수는 특목고/특성화고를 제외한 국내 고등학교 수에 대략적으로 비례할 거에요. (이들 학교를 제외하면 지균은 거의 다 내니까) 합격자나 이월인원이 아닌 '지원자' 중의 미달 비율은, 지균의 문제가 아닌 하위 일반고의 교육수준 문제를 나타낼 뿐입니다.

  • 빨둥이 · 828402 · 19/07/08 05:50 · MS 2018

    그건 서울대 모집요강에대한 착각으로 보입니다. 서울대 지균은 서류+면접 통합 2배수 선발이기때문에 전원 면접응시가 가능한건데 이걸 전원 1차합격으로 오해하죠. 님이 말한 경우는, 그냥 애초에 1차에서 떨어질(2배수안에 못들었다) 운명이였다. 이말입니다.

  • 빨둥이 · 828402 · 19/07/08 05:46 · MS 2018

    이분이 간과한 부분: 투과목이라는걸 감안안함.
    가산점 잘 안주는건 아는데, 투과목을 해본 입장에서는 그래도 투과목4등급실력>원과목2등급실력이라고봄.
    그러면서 입결은 무슨 원과목2등급정시입결이랑 비교하고있고... 그냥 어떤 사회현상을 자기가 보고싶은대로만 바라보는거로밖에 안보입니다. 인서울 중위권보다 못하다 이말은 너무 갔다.. 그리고 정시중에서 생지쪽 과를 희망하는것도아니면서 생1지1하는 사람의 경우 물2화2 수시러들한테 쉽게들어왔다며 비하할 입장은 아니라봄

    글쓴이분은 단지 수시가 정시보다 쉬운편이다를 말하고싶어하는거같은데, 수능 34256(이거보다 더 낮을수도 있는데 최대치임)성적으로 경희국캠전화기 뚫고 상위67~80%의 학점을 받아오는 사례랑, 정시로 들어간 본인은 과제만 제때제때하고 시험 1주일전에 벼락치기하는거 말고는 거의 놀기만한다싶어도 학점 4.30/4.5 양학하는거보면 어느정도 공감함.

    설지균 최저 떨어져보고
    수시로 물2화2까지 해보고
    수시 광탈당해서 정시로 가보고
    과탐도 물1화2 인데 물1 물과탐으로 인한 표점 쪽박과, 설지균 화2 리스크때문에 본인 실력보다 낮게간 경북대 물리학과에 붙은 입장에서
    정시 물1 화2 기본베이스빨로 공부 ㅈㄴ대충해도 4.30나오는 본인의 상황이였음.
    아웃풋 ㅈㄴ좋으니까(나름 주요대기업+공기업 취업률 40%대임) 거기서 계속 양학하는것도 좋은 선택지같지만, 반수해서 서성한 전화기 이상 붙으면(넓게봐줘서 서성한 신소재공까지도 생각하고있음)학교 떠날거고 그 이하면 걍 있을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