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러쉬 [251878] · MS 2008 · 쪽지

2011-02-12 11:53:27
조회수 1,023

[화학1]질문 대방출 좀 할게요^^; 고수님들 한번씩만 봐주세요~ㅠ

게시글 주소: https://ys.orbi.kr/000822829

요즘 화학1 공부를 스타트 끊어서 앞부분 질문이 많습니다.


1. 얼음이 입체적 구조를 이루어 분자 사이에 빈 공간이 생기는 근본적인 이유가 뭔가요? 수소결합 or 물의 굽은형 원자구조?

2. HF와 NH3의 온도/밀도 그래프는 물의 그래프와 유사한가요?

3. 수소결합이 굳이 성질로 따지자면 '극성'의 일부라고 들은 것 같은데 극성 분자에 수소결합의 성질이 생기면 극성이 강해지나요?

4. 얼음에서 물로 될때 0도에서 밀도 수치가 여러가지가 될 수 있나요?(얼음이 얼마나 녹았느냐에 따라)

5. 4도C의 물의 표면장력(혹은 분자간의 인력)이 가장 큰가요?? 물 분자간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때라 그럴 수도 있을 것 같단 생각이 들어서..

6. 얼음은 수소결합의 결합선이 각 분자마다 최대로 걸려있는 상태인가요?? 그리고 그때의 수소 결합 수는 한 분자당 4개가 맞나요?

7. 왜 물의 비열이 얼음의 비열보다 큰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고주사립옹 · 328040 · 11/02/13 15:04 · MS 2010

    1. 수소결합이라고 해야겠죠
    2. 제가 알기론 고등학교 책에서 밀도가 액체상태가 고체상태보다 큰 물질은 물밖에 없습니다 HF나 NH3는 아마 밀도가 고체상태가 액체상태보다 더 클겁니다
    3. 극성의 크기는 수소결합의 유무에 상관없고 두 원자 사이의 전기음성도(전자를 끌어당기는 정도) 차이에 관계됩니다
    4. 물과 얼음의 밀도는 일정할 것이고 그 혼합물의 밀도는 달라지겠죠
    5. 인력은 온도가 높을수록 작아지고 낮을수록 큽니다 다른 물질도 마찬가지입니다
    6. 얼음일때는 수소결합수가 최대이며 일정합니다 한 분자가 다른 네분자와 결합을 합니다
    7. 이건 저도 잘 모르는데 줏어들은 얘기입니다 물이 얼음보다 분자운동의 종류(진동 회전 병진)가 많아서 그렇다고 들은거 같습니다

  • 한방러쉬 · 251878 · 11/02/13 16:01 · MS 2008

    감사합니다!!^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