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내가 재능이 없다고 생각한다면
게시글 주소: https://ys.orbi.kr/00071498978
#논점 1. 인생은 재능의 연속이다.
음악, 재능이죠
게임, 재능이죠
스포츠, 재능이죠.
그리고 공부는 압도적으로 재능입니다.
사실 인생 모든 일은 재능입니다.
엥? 이게 공평한가?
너무 불공평한 거 아닌가?
저는 공평하다고 생각해요.
오히려 '재능'에 의해서 결정되지 않는 사회가 더 불공평하다고 생각해요.
극단적으로 단순화해서 생각해봅시다.
#예시 1.
우리가 회사를 들어간다고 가정해봅시다.
근데 이 회사는 그냥 뺑뺑이로 사람을 뽑습니다.
이때, 업무 능력이 출중한 A와 업무 능력이 부족한 B가 있어요.
A는 진짜 열심히 살았습니다. 명문대에 진학했고, 학비를 대기 위해서 열심히 아르바이트도 했고, 자격증도 여럿 땄네요.
한편 B는 대충 살았습니다. 학원 가기 싫으면 빼먹어서 좋은 학교도 못갔죠. 학점도 대충 관리했구요. 자격증도 없네요.
그런데 능력에 대한 고려없이 운으로 무작위로 결정되었습니다.
이게 더 공정한 건가요?
#예시 2.
그렇게 모든 게 다 운으로 결정되었다고 해봅시다.
그러면 이 사회는 더 이상적인 사회일까요?
운동을 못하는 스포츠 선수,
노래를 못하는 가수,
연기를 못하는 배우,
일을 못하는 정치인까지....
이게 더 좋은 사회입니까?
#논점 2. 재능도 운의 영역이 아닌가?
재능이랑 구별해야 되는 말이 있어요.
바로 지능입니다.
재능과 지능은 다른 말이지만, 사람들이 많이 착각합니다.
#지능
지능은 IQ로 환산이 됩니다.
물론 이 지능도 학습을 통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논문도 많지만, 많은 부분에 있어서는 보통 선천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많습니다.
부모에게서 물려받는 요소인 것이죠.
그냥 쉽게 말해서 타고나는 것이라 합시다.
#재능
그렇다면 재능은 도대체 뭘까요?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재능의 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어라라?
개인이 타고난 능력에 + 훈련에 의해서 획득된 능력을 더한다고?
맞습니다.
재능은 '지능' + '훈련'입니다.
당연히 타고나는 부분도 있지요.
하지만 재능은 내가 후천적인 노력으로 키울 수 있는 요소입니다.
그니까 '재능이 없다 = 노력조차 안한다'입니다.
#생각할 거리
08학년도 6월 '탁월함'에 대해서
16학년도 수능 B '도덕적 운과 도덕적 평가'에 대해서
#예시 1.
저는 실제로 16수능 국어 5등급 따리였습니다.
국어포기자 출신이었습니다.
정말로 국어에는 영 재능이 없다고 생각했었던 사람입니다.
하지만, 지문을 읽으면서 생각해야 할 것들에 대해서 매뉴얼을 스스로 만들어내기 시작했고,
처음에 익숙해지기까지는 기계적으로라도 읽었습니다.
하루에 지문 10개를 계속 읽었습니다.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다면 계속 파내면서 읽었습니다.
그렇게 삼수때까지 2년 간 꾸준히 했습니다.
논리적인 측면에서 궁금함이 생겼을 때는
논리학 교과서를 펴내서 읽었습니다.
과학 이론에 대해서 모를 때는
과학 교과서를 읽고, 강의도 들었습니다.
나중에는 어느 순간 자동으로 되더군요.
그러자 남들보다 잘 읽게 되었습니다.
그러니까 어느 순간 국어 강사가 돼있더군요.
사실...
이런 간증은 너무나 많습니다.
존경하는 수학 강사인 현우진 선생님도 마찬가지 경험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아래에 영상 링크도 남기겠습니다.
공부하기 전 갖추면 매우 유리한 능력 #현우진 #10대 #동기부여
#논점 3. 재능은 내가 만들어 내는 것이다.
내가 재능이 없다고 생각이 든다면,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과연 '제대로' 노력을 했는지 생각해봐야 합니다.
재능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제대로, 즉 '정확한 방법'으로 노력해야만 합니다.
그 정확한 방법에 대해서는 앞으로 계속 글을 쓰면서 구체적으로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생윤사문 하고있는데 (한달됨) 고3 1학기 내신이 한지라 생윤을 한지로 틀까...
-
정법은 2등급 베이슨데 경제는 제로베이스임
-
예체능 쪽에서 예원학교-서울예고 졸업하신 분들은 뭔가 좀 느낌이 달랐습니다. 0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근데 예체능 출신 중에서도 저 코스 타신 분들은 조금...
-
김승리 올오카 독서 듣고 있는데 많이 들은 건 아니지만 지문을 읽으면서 표상을...
-
한지 240611 변형 13
정답률 26%짜리 북한 기후 문제 선지만 다시 변형해봄
-
강기원이 그렇게좋음? 10
나 들어볼까?
-
브랜트포드가 더 잘함
-
수학수능 2등급이면 쉬4기출까지 다시 풀어야하나용? 0
그냥 빠르게 쳐내는정도면 되나 흠
-
국립대 조발 좀 2
제발
-
씻고누움. 6
훗 계획대로 오퍼레이션 현상태 순조로움
-
덕코 6
어따 쓰는거임
-
아니면 이 둘이 밤에 찾아가요
-
독서는 흐으음 기대가 너무 컸던걸까..기대에 비해 그닥 독서는 발차기마스터 계속...
-
대학교도 난이도 낮춘 수능 문제 형식으로 내주면 좋겟다는 생각을 정치학개론...
-
보통 생기부를 개판으로 만들고 싶으면 행특에다가 이상한 말을 적어요 아니면 세특에다가 적어요?
-
☆가능충입갤☆ 8
-> 가능?
-
공감되는 만화 9
환자체중정보가 파운드로 제시되면 머리로 키로로 바꿔야됨 ㅅㅂ
-
너무 늦어서 그런가 원래 글올리고 20분내로 구해지는데 ㅠㅠ
-
근데 은퇴선언도 했었네 ㄷㄷㄷ..
-
서강대에 인공지능학과랑 시스템반도체공학과 말고 입학시 장학금 주는 과 더 있나요??...
-
검정고시 내신 cc에서 bb 만드는 정보 앎? 저도 삼수라 입시 빠삭한데 ..이거는...
-
개인적으로 진로로 생각해서 밀고 있는 분야는 없는데 반도체가 더 유망해 보여서...
-
공부 3일차 0
메인 포1 수 상 완 + 개념 목차 정리 루틴 X 발가락 부상으로 인한 계획...
-
이신혁선생님 수업 안듣고 오지훈선생님 매직개념완성 끝내고 칼레이도스코프랑 아폴로만...
-
the 02는 혼자 갈게 ㅎ
-
하
-
최소 고딩인줄 알았는데 예원학교 패딩 입고있었음 예쁘시던데
-
이건 교잡권보호위원회에서 따로 여는거라 포함안됨ㅇㅇ 그럼 그렇지 ㅋㅋㅋ 계속 교권...
-
가슴이 웅장해진다 진짜
-
나를 걱정했었나요~무엇도 해줄 수 없는 내 맘 앞에서~
-
드러마러 드러마러
-
내일까지만하나..? 지금 돈이 없어서 다음주에나 결제할수있는데…
-
서울대가 먼저 내신반영 시작하고 그후 모든 내신반영 학교 다 비교내신하는데 걍ㅋㅋ
-
서울대 내신 a,b,c 부여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아시는 분 계실까요 ..? 대강...
-
생윤 사문 번갈아 가며 공부하는게 맞을까요? 의견 부탁! 0
그냥 한개 쭉 밀고 나가서 하나씩 끝내는게 좋을까여? 의견 남겨주세요~^~^
-
팀 언확경사 ㅎㅇㅌ
-
학폭감점 이거 2
교권침해 같은건 포함인거임? 전 그런거 걸린거 하나 없긴함 오해 ㄴㄴ 걍 궁금해서...
-
수능특강 3
수능특강 2026 직업탐구 나왔나요? 검색했는데 안 뜨네요
-
이거부터가 의문인데... 법도 모르는 애들이 판단하니.. 이건 뭐..
-
이게 내 올해 목표다 11
근데 이정도면 어디가지
-
보통 30분이면 하는데 독서에 시간을 더 투자해보고 싶어서25분컷 해보고 싶은데 엄청 어려운거에여
-
셋다 붙는 점수임 강원대 의대 영남대 의대 계명대의대 서울살고 지방생활 거부감없음...
-
검정고시생들을 위한 서울대 대체서류 준비 방법 칼럼쓰면 대박남 ㄹㅇ로. 전국에 있는...
-
시발 진짜 개웃기네 그래 과제같은거 물어볼사람 생긴거잖아 럭키빅키잔아~
-
올해 화학에 안계신거죠???
-
질문받음 30
공부 사생활 저녁메뉴 등등
-
헐렁(long) 팜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
재능은 결국 노력으로 만들어낸다는 말씀에 희망이 생겼습니다ㅎㅎ 은우 쌤의 ’정확한 방법‘에 대해 빨리 알고싶어요ㅜ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