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ys.orbi.kr/00068982326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넉넉한가요?
-
다 부질 없다 2
-
설맞이 시즌1 1
이랑 비슷한 난이도 실모 ㅊㅊ해주세요.. 샤인미 ㄱㅊ나요?
-
과외 시급 13
학교별로 평균 과외시급 어느정도됨? 의치한 샤대는 어떤지 궁금하고 고연은 보통...
-
독서론&언매 (독서론,매체 약해서 15분 컷) 독서 (가나 제외) 문학 독서 가나...
-
진짜 작년에 말도 안 되게 떨어짐 가채점 하나도 안틀렸는데
-
제 풀이 어디가 틀렸는지...
-
기아우승!!!! 5
바보라이온즈 컷!
-
먼저 수시와 정시 선발 비율은 자율로 하되, 4:6 내외를 준수해야 함 3특,12특...
-
bae0501 아래 링크에서 내 아이디 입력하면 돼! 우리 같이 마이맥에 선물...
-
수학공부 할 때 4
뉴런 한 단원 풀고, 해당하는 단원 수분감까지 풀고 다음단원 넘어가기 vs 뉴런 싹...
-
틀딱기출들에서 아이디어 따오는 경우도 있긴하다만 대부분은 요즘 유형이랑 다 너무...
-
근본 시절
-
죽을거같네
-
문제가 상당히 불쾌하네요 1회보다 공을 덜 들인건지 아니면 9평의 그 9모틱한...
-
되면 오르비 터지냐
-
Y염색체 나온적 있나요
-
이감 6-8 79점 경찰대 2025 1차시험 점수 말 못함 ㅠㅠ
-
아 재종 댕기고 싶다 일어나서 밥 먹고 학원 갔다 집 오고 무한 반복 월례치고는 영과관 가고,,,,
-
니들 뭐 아직도 대치동 어둠의 스킬이랍시고 뭔 이~~~~~~~~~~쌍한 N축 거리곱...
-
ㅠㅠㅠ
-
저 대학보내주세요
-
내가 이상하게푼건가 해설보는데 bk, ck = 0, 0이면 b(k+1),...
-
수학과 달리 국어는 재능충이라 공부 거의 안하고 기출분석도 깊이 안함. 간쓸개만...
-
아침에 기분좋게 일어날 수 있어서 감사합니다 오늘 푼 수학실모에서 실수를 안할 수...
-
내일도 힘내서 꼭 내가 원하는 것들 꼭 얻어야지!! 화이팅!!
-
풀어보신분 좀따 의견공유 부탁해용
-
느낌이 좋다 1찍먹 가능할듯 찍맞하면 1 못하면 2-3뜰듯
-
둘다집에잇는데내일들고갈거추천좀요
-
미들오니까 그냥 문제마다 벽 벽 벽 벽
-
강x 2회차 0
10번 -> a1은 S1에서 따로 봐야했는데 이걸 놓침 13번 -> 원주각 찾는거...
-
시간이 빠르긴한데 대략적으로 주 수학 12실모페이스로 거의 30개 더 풀 수...
-
유튜브영어댓글을읽는다
-
단 한과목도 전부 다 풀겠다는 생각을 안하는중 솔직히 지구는 다풀수있을거같긴한데...
-
그럼 과탐 2개 양이잖아,,,,
-
근데 현실 친구들도 잘해서 온세상이잘해보임 아. 학원가면나는항상꼴등인데 엉엉이
-
이번 수능... ?? 영역.. 1컷은.. 78... 7
홀홀홀..
-
브릿지 10회 42+3 점 전국 서바 2회 44+3 점 브릿지 final 2회...
-
그게 나야 바 둠바 두비두밥~ ^^
-
작년에 사뒀었는데
-
슬슬 ㅈ된거 같음 ㅋㅋㅋㅋ 그래도 재밌었으니 후회는 없다
-
어떻게 할지 감은 오나...? 뭘 할지 모르겠어서 조건에서 얻어낼 수 있는 거...
-
풀리는 건 잘 풀리는데 보고 딱 “이렇게 해야겠다”가 안떠오르는 문제는...
-
설샤 냠냠 11
준킬러구간이 꽤 쉬운것같음 근데 저거 3개 남기고 25분?정도 남았는데 하나도 못풂...
-
이정도로 미치게 고였던 적은 없던 거 같다.
-
고정 1컷은 뜨는데 뭐가나을까요...전자가 끌리긴하는데
-
아.. 1
수능 시러
좋아하는 노래?
던말릭 - 전염
컴공과에서 코딩의 비중이 어느정도 되나요??
60% 정도.
1. 취업으로의 허들 : 결국 코딩테스트를 보니까, 어쩔 수 없이 기교와 기본은 필요하다.
2. 이론의 구현 : 제 아무리 고급진 CS 이론을 안다고 해도, 직접적인 구현을 통해 이론을 증명할 필요가 있다. 컴퓨터공학 또한 ‘과학’이다. 논증이 되지 않으면 추측일 뿐이다. 적어도 이론을 받아들이는 사람에게 있어서는.
3. 변화 : 코딩을 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개인에 따라 다르겠지만, 거시적으로 얘기해 볼 수 있다면 결국 인간의 삶, 더 나아가 세계 전체의 흐름을 더 나은 방향으로 보내기 위함이다.
그 실현을 위해서는 당연히, 실질적인 성과가 필요하고, 이 성과의 단위가 ‘코딩’임은 분명하다. 소프트웨어는, 결국 코딩이라는 절차 없이 성립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코딩이 절대적이지 않은 이유
1. 어쩔 수 없이 수단에 불과하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코딩은 말 그대로, 이론을 구체화하는 ‘수단’이다. 이 ‘수단’을 어떻게 이용하고, 또 이것에 어떤 의미를 불어넣을 것인지는 개발자의 철학이나 가치관에 달려있다. 말하자면, 제아무리 코딩 센스가 좋고, 모든 구현에 능숙하다고 해도 철학이나 가치관이 부재하다면 그는 힘을 가질 수는 없다.
2. 코딩은 결국 논리적 글쓰기로 치환된다
사실 코딩이라는 한 프로세스를 분석하면, ‘논리적 글쓰기’와 굉장히 유사하다. 어떤 연산이나 계산을 순서대로, 또 이해하기 쉽도록 나열하는 일련의 과정이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이 능력을 지속적으로 쌓을 수 있다면 지금 당장의 코딩 실력이 떨어지더라도 걱정할 것이 없다는 말이다. ‘나열’하고 ‘배치’하는 것에 익숙해지다 보면, 또 가급적 그것이 ‘글’이라는 매개로 연습될 수 있다면 코딩에 자신감이 붙을 수밖에 없다. 이런 측면에서, 개인적으로 개발자에게 높은 수준의 인문학적 소양이 있어야 한다고도 본다.
개발은 국어다
일정 수준 동의하는 말입니다.
개발자가 책을 많이 읽어야 하는 이유
소통과 개발을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