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앰피 · 1316605 · 06/16 21:22 · MS 2024

    망해서 그럼

  • 허수5수생 · 1310592 · 06/16 21:22 · MS 2024

    망했어요

  • 시대인재N 재수종합 · 1284094 · 06/16 21:23 · MS 2023

    오르비 망함

  • 앰피 · 1316605 · 06/16 21:23 · MS 2024

    몇회?

  • 시대인재N 재수종합 · 1284094 · 06/16 21:26 · MS 2023

    501회

  • 메디컬가고싶어울었어 · 1281712 · 06/16 21:27 · MS 2023 (수정됨)

    우선 국어는 기출에 집중해야합니다 어쩌구 저쩌구
  • 앰피 · 1316605 · 06/16 21:27 · MS 2024

    우선 국어는 기출에 집중해야 합니다

    독서는 아무래도 양치기는 본인의 독해 방법, 선지 판단 방법이 확립되어야 효과를 볼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해요

    그니깐 그 전까지는 기출을 계속 보면서 약간 내가 어느 방법으로 글을 읽고 있는지에 집중해야한다 생각합니다

    또한 지문 독해는 어느정도 되면서도 선지 판단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틀리는 경우도 많은데, 저는 이 부분은 216 선생님의 선지판단원칙이 좋았던 것 같아요

    또 ebs 연계 기조가 강화되어 ebs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문학은 더더욱 기출이 중요한데, 오답이든 정답이든 내가 어떤 사고방식으로 이걸 골랐지? 이걸 어떻게 해야 시험장에서 틀리지 않을 수 있지? 이거에 집중해야죠

    특히 문학은 독서와는 달리 사적 영역의 언어이기 때문에 함부로 지문의 내용을 단정지어서는 안된다 생각해요

    지문은 드라이하게 읽되 선지 판단에서 힘을 써야합니다

    특히 대부분의 선지는 굳이 지문으로 돌아가지 않더라도 지문의 거시적인 흐름 파악과 선지 독해만으로 풀 수 있는 선지가 많기에 이를 통한 시간 단축이 필요하다 생각해요


    또한 수학은 기출도 중요하지만, 절대적인 문제풀이의 양을 늘려서 사고과정을 자연스럽게 익히는게 중요합니다

    그러나 수학의 경우에는 시중에 문제집과 n제가 넘쳐나기 때문에, 본인의 수준을 확실히 파악하여 그 수준에 맞는 공부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 과정에서 본인이 기출 분석이 부실하다면 기출로 돌아가고, 문제 풀이 태도가 난잡하다고 생각되면 실전개념을, 문풀 양이 부족하다면 문풀 양을 늘리면 됩니다

    일정 수준에 올랐다면 정체기에 도달하기 쉬운데, 그때 가서도 내가 너무 편한 공부만 하고 있지는 않은지 본인의 공부 방식과 사고 과정을 점검해보는게 도움된다고 생각합니다

  • 메디컬가고싶어울었어 · 1281712 · 06/16 21:28 · MS 2023

    나만 가지고있는줄

  • 앰피 · 1316605 · 06/16 21:30 · MS 2024

    전에 님이 도배하셨잖아요

  • 캬난빌 · 1215868 · 06/16 21:28 · MS 2023

    ㄱㅅㄱㅅ

  • 대 해 린 · 1211921 · 06/16 21:34 · MS 2023

    님이 똥이래요

  • 캬난빌 · 1215868 · 06/16 23:38 · MS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