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센디움 [1260114] · MS 2023 · 쪽지

2024-06-14 02:42:22
조회수 2,244

국어 잘하는 의외의 방법

게시글 주소: https://ys.orbi.kr/00068414649

중학교 공부를 열심히 하면 됨.


최근 대부분의 비문학 지문은 중학교~고등 공통과목을 

배경지식으로 상정하고 내는 경우가 많음.


예) 2023 수능 L-그래프 지문 : 수학1 지수와 로그 연계
     2025 6평 플라스틱 지문 : 통합과학 화학 내용 연계 (공유 결합)


이는 과거에 PCR, 미토콘드리아처럼 특정 과목(주로 사탐, 과탐)에 

유리하게 출제되던 것과 분명한 차이가 있음.


이때 고1 이후의 내용은 오히려 최근 내용이라서 기억이 잘 나는데

오히려 중학교 때의 내용이 가물가물하거나 제대로 공부 안해서 문제가 됨.


예) 2022 수능 브레턴우즈 체제 : 중학교 사회 내용 연계 (경상수지-환율 관계)



'경상수지'라는 말을 그 지문을 읽으면서 처음 봤다는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사진

(중학교 2-3학년 사회 교과서)



     2024 수능 훈민정음의 용례 : 중학교 국어 내용 연계 (한글의 창제 원리)



중학교에서는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를 배우고 기본자, 가획자, 이체자를 가르침.

(중학교 2학년 국어 교과서)



작수 언매 문제는 솔직히 좀 너무한게

저 내용이 딱 중학교 때만 배우는 내용이고

고등학교 교과서 어디에도 안 나옴..

심지어 아음, 설음, 순음, 치음, 후음 이런 말은 

2015개정교육과정 이후 더이상 어디에서도 안 나옴.

(그래서 중학교 때 09개정으로 공부한 재수생이 유리했음)


암튼 국어에서 소위 킬러라고 불리는 문항들은 

사실 중학교 지식이 관건일 수 있다..

라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