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달인 [1299208] · MS 2024 (수정됨) · 쪽지

2024-05-29 16:49:14
조회수 1,476

[생명과학1 유전] 복대립유전 우열관계 & 표현형 개수

게시글 주소: https://ys.orbi.kr/00068216160

안녕하세요 생달입니다.

오늘은 복대립유전 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본인 경력사항(아래 링크)

https://orbi.kr/00067394372



**문제풀이 스킬이 필요하다면, 아래Orbi Docs 클릭하여 확인 가능합니다.**

1)유전 스킬! 유전 5문제 중 3문제는 확실히 맞추기_다인자 유전, 감수분열 상대량, 가계도

Orbi Docs - 생명과학1 유전 스킬 정리본 (20장으로 정복하기)


2)비유전 완성하기. 헷갈리는 포인트 완벽 정리!

Orbi Docs - 생명과학1 비유전 완성! : 헷갈리는 포인트 정리로 시험전 이것만 봐도 만점!


3)다인자 유전 확실히 맞기!

Orbi Docs - 20장으로 끝내는 다인자유전 스킬(복대립, 중간유전 포함)_생명과학1 유전

*단,  3)에는 1)에 포함 안되는 고급 스킬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생명과학1 컬럼 (링크가 없는 것은 추후 업로드 예정)

1. [유전] 감수분열 DNA상대량

https://orbi.kr/00067460589


2. [유전] 다인자유전

https://orbi.kr/00067572400


3. [유전] 비분리와 돌연변이

https://orbi.kr/00067684235


4. [비유전] ABO혈액형

https://orbi.kr/00067853248


5. [비유전] 신경계

6. [비유전] 호르몬과 항상성

7. [비유전] 근수축

8. [비유전] 흥분의 전도

9. [비유전] 몸의 방어작용

https://orbi.kr/00067874458


10. [비유전] 5단원 전체

https://orbi.kr/00067922457





복대립유전 지문에서 우열관계를 바로 알려주지 않고, 표현형의 가짓수로 알려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표현형의 가짓수로 아래와 같이 우열관계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1)대립유전자 D, E, F 3개인 경우 (대부분)

(1)표현형 3가지 → 우열 관계 뚜렷 (D>E>F …)

(2)표현형 4가지 → 우열 관계 뚜렷X (D=E>F or D>E=F)

(2)표현형 6가지 → 우열 관계 뚜렷X (D=E=F)


*동형접합일 때를 생각해보자. DD, EE, FF는 표현형이 곧 [D], [E], [F]이다. 즉, 기본적으로, 대립유전자의 개수만큼 표현형을 갖는다. 그런데 만약 D=F와 같이 우열관계를 가릴 수 없는 case가 1개 추가되면, [DF] 표현형이 1개 추가 될 것이다. 


2)대립유전자 D, E, F, G 4개인 경우

(1)표현형 4가지 → 우열 관계 뚜렷

(2)표현형 5~10가지 → 우열 관계 뚜렷X

Ex. A=B>C>D (5가지), A>B=C>D(5가지)



*대립유전자의 개수가 3개이든 4개이든 우열관계가 뚜렷하면, 대립유전자의 개수가 곧 표현형의 개수이다. 다르다면, 우열관계가 뚜렷하지 못한 것!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