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잔틴 [367231] · MS 2011 · 쪽지

2015-10-14 11:22:48
조회수 3,185

[비잔틴史] 어려운 한국사 - 현대사 이것만 기억하고 들어가쇼 3

게시글 주소: https://ys.orbi.kr/0006648628

3탄!!! 이구.. 좀 일찍 시작할껄.. 저도 압박이.. ^^ 현대사는 요걸로 마무리하고, 담번에는 근대사 정리해 드릴께요. 유용하게 쓰이는거 같아 마음이 완전 뿌듯해요~~!!



24. 기본적으로 한국의 대통령제는 4년 중임제였으나 유신체제 때 6, 전두환 때 7년 단임, 87년 이 후 5년 단임제로 바뀌었다.

양원제 내각도 발췌개헌 때와 2공화국 때 밖에 없었다.

박정희는 공화당, 전두환은 민정당(민주정의당), 대표 야당은 신민당이다.




개헌 과정을 일일이 1, 2차 식으로 외울 필요는 없어요. 그냥, 이승만 발췌개헌-사사오입개헌, 박정희 삼선개헌-유신, 전두환 7년 단임제, 6월 항쟁 5년 단임제식으로 사건과 연결지어서 외우는게 훨씬 효과적이에요.

삼선개헌 때도 4년이기 때문에 삼선개헌과 유신을 구분할 때 4년과 6년으로 구분해두면 도움이 되요. 양원제 내각은 실재로 실시가 된 건 2공 밖에 없기 때문에 표 형태로 의석수 나오고 하면 무조건 2공화국이에요.

정당 이름은 기억해두면 여러모로 유리해요.

 

 


25. 1980에는 서울의 봄, 광주민주화항쟁이 있었고 1987, 전두환 집권 말기에 6월 항쟁이 일어났다.

박종철, 이한열 군이 죽었으며, 전두환은 4.13 호헌조치를 통해 정면 돌파하러 하였으나 호헌철폐, 민주헌법쟁취를 외친 6월 항쟁의 요구에 굴복, ‘6.29선언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를 수용하였다.


4.13호헌 조치가 정말 많이 나와요. ‘4.13 폭거식으로 규탄 선언문 형태로 나오구요. 6.29선언은 올해 처음으로 평가원 모의고사에 나왔으니까 주의 깊게 기억해두세요. 전두환 정권 당시 노태우 민정당 대표가 선언한거에요.

 

 


26. 노태우 정부 때 여소야대국회 하에 5공 청문회가 진행되었으며 3당 합당을 통해 거대 여당이 다시 등장하게 된다.

한편 노태우 정부는 냉전 붕괴속에 적극적으로 북방외교를 천명, 90년대 초반에 소련, 중국과 수교를 했다.


요거 많이 헷갈려해요. 노태우 정부는 청문회만 했고, 재판은 김영삼 정부라고 정확히 기억해야 합니다!

 


27. 김영삼 정부는 이승만 이래 최초의 문민 정부였으며 집권 초기 다양한 개혁을 추진하였고, 역사 바로 세우기를 통해 전두환-노태우 전대통령을 재판하기도 했으나 집권 말기 외환위기를 맞이하며 IMF에 구제 금융을 요청하게 된다.


업적이 하나하나 시험에 다 나와요. 금융실명제, 부동산실명제, OECD가입, 전면적 지방자치제 모두 활용되니까 잘 기억해두세요.

 


28. 김대중 정부 때 비로소 최초의 평화적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으며 햇볕 정책을 통해 최초의 남북 정상 회담도 이끌어 냈다. 또한 IMF를 극복한 것도 주요 업적이다.


1997년 말 외환위기 발생했구요, 2001년 극복했답니다. 요즘에는 2006년 노무현 정부 때 한미FTA 채결된 것도 나와요.

정상회담은 두 차례 모두 평양에서 했구요. 김대중 대통령은 비행기타고, 노무현 대통령은 육로로 북행을 했답니다.

 


29. 유엔 감시 하의 남북한 총선거를 주장했던 통일 정책은 장면 정권 때이다.


이건 2공화국 때 혁신계에서 주장한 내용인데 현재는 사실상 안나와요.

 


30. 727.4 남북 공동 성명은 남북한 통일에 대한 대원칙을 합의한 사건이며, 이를 바탕으로 91년 남북기본합의서는 포괄적인 협력 방안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2000. 6. 15 공동 선언을 통해 구체적인 실행 방안들이 나오게 되었다.


7.4남북공동성명과 6.15남북공동선언을 반드시 숙지해두세요. 어차피 3개 중에 나오는데 2개의 특징을 알고 있으면 그게 아닌게 남북기본합의서가 되니까요.

자주-평화-민족 대단결7.4 핵심 키워드구요.

연합제와 낮은 단계 연방제 간의 유사성이 있다는게 6.15 핵심 키워드입니다.

남북기본합의서는 남북관계가 잠정적 특수 관계이다 등의 여러 키워드가 있어요.

 


31. 최초의 남북적십자회담은 7.4 공동성명 직전, 최초의 이산가족 상봉은 85년 전두환 정권 때 이루어졌으며 남북고위급 회담은 노태우 정부 기간 때 본격화 되었다. 김영삼 정권 때는 핵위기가 발생하였고 경수로 건설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1971년 최초의 남북적십자회담

1985년 최초의 이산가족 상봉

1991년 남북기본합의서는 남북고위급회담중심으로 진행

1994년 북한 NPT탈퇴 및 핵위기 발생

, 남북이산가족 상봉 전에 북한에서 수해 물자 보낸 것도 기억해두면 좋아요.

 

 


32. 금강산 해로 관광은 정주영 회장이 98년에 얻어낸 성과이고 평양에서 이루어진 6.15 공동 선언 이 후 육로 관광이 이루어졌다.


요즘에는 현대그룹 정주영 회장식으로 그대로 나옵니다. 1998년이니까 김대중 정부 시절이겠죠?^^ 1998년은 노사정위원회가 만들어진 해이기도 해요.

해로 관광은 배타고 금강산 가보는거고, 육로 관광은 버스타고 가는거니까 헷갈리시면 안되요.

 

 


33. 1970에는 전태일 분신 사건, 새마을 운동, 경부고속국도 건설, 포항제철 준공 등 중요한 사건이 있었다.


정확히 연도를 따지면 착공, 완공 등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1970년을 기점으로 전후 사정이 바뀐다고 기억해두면 되요. 시대 분위기 상 새마을 운동출제 확률이 높고, 보기도 매우 긍정적으로 나올꺼에요^^ 포항제철은 포스코를 말해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