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EBS 활용 방법
게시글 주소: https://ys.orbi.kr/0004391213
먼저 절대적으로 옳은 공부법이 있다기보다는 학생 개개인의 상황에 맞는 공부법이 있다고 전제하고 싶습니다.
국어 공부 방법 중 A라는 방식이 절대적으로 옳은 공부법이라면 누구든 A라는 공부법으로 공부했다면 결과가 좋아야 할 텐데 현실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이 있으니 제가 이 칼럼에서 제시하려는 EBS 활용법도 수많은 공부 방법 가운데 하나라고 생각하시고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EBS 교재가 수능에서 어떤 형식으로든 연계된다는 것은 당분간은 변함없는 팩트인 것 같습니다. 그 중요성에 대해서도 우리 모두 충분히 인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같은 교재로 공부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시험 성적은 모두 다릅니다. 이런 의문에서 몇 가지 조언을 해 드리려고 합니다.
1. 교재도 중요하지만 해설지가 더 중요할지도 모른다.
올해 출간된 수능특강을 풀어 보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년 문제에 비해 깔끔하게 문제가 출제되기는 한 것 같습니다. 다시 말하면 고민해서 풀만한 논점들이 별로 없이 속된 말로 답이 깃발 들고 서 있는 매우 평이한 문제들이 대부분인 것 같습니다.
이 정도 수준의 문제들을 풀어 놓고 몇 개를 맞추었고 몇 개를 틀렸다고 평가하는 것은 의미가 없어 보입니다. 맞은 문제라고 할지라도 항상 답지를 참고해서 이 문제에서 묻고자 한 포인트가 무엇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작품에 대한 해제가 있을텐데, 이 부분을 꼼꼼하게 보셔야 합니다. 변형 문제가 출제되거나 연계되어 출제 되었을 때 이 부분을 포인트로 내겠다는 일종의 암시라고 생각하시고 해설지의 해제를 특별히 눈여겨 보시고 필요한 부분은 지문 옆에다 메모를 해 두시면서 공부하시면 좀 더 입체적으로 EBS 교재를 공부해 볼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2. Index가 반드시 필요하다.
틀린 문제, 매우 어려운 지문, 어렵지는 않은데 잘 이해가 안 되는 지문, 수업중 선생이 중요하다고 강조한 지문 등등 나름의 기준으로 교재를 분류하고 분류된 것은 post-it 등을 이용해서 Index를 붙여 두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틀린문제-->빨간색 / 어려운 지문 -> 파란색 / 중요한 지문 --> 녹색 등으로 분류해 가면서 공부해야 합니다. EBS 교재를 한 번만 보시지는 않겠지요? 다음에 볼 때는 필요 없는 Index는 떼고, 처음 볼 때는 쉬워 보였는데 다시 보니 잘 이해가 안 되는 것이 있다면 다시 Index를 해야 합니다. 이 작업은 수능 전까지 교재를 복습할 때 마다 계속되어야 합니다.
수능이 한 달 정도 남았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뭔가 정리는 해야겠는데 EBS 교재를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막막해 질겁니다. 이때 Index가 되어 있는 학생은 Index가 붙어 있는 지문과 문제 위주로 공부할 수 있습니다. 수능 직전까지 EBS에 붙여 둔 Index를 전부 뗄 수 있다면 적어도 EBS와 연계되는 문제에 대한 준비는 끝난 것이나 다름 없겠지요. 지금 당장은 귀찮은 작업이 될 수 있지만 일 년 동안 긴 시간을 공부해 나가면서 자신이 보아왔던 교재를 체계화 시키고 입체화 시키는 것은 마지막 파이널 정리를 위해 반드시 해 나가야 하는 작업입니다.
3. 자신만의 진도표를 만들어라.
이 부분은 재학생이라면 특히 주목해서 읽어 주시면 좋겠습니다. 선생은 목동, 대치, 경기 지역까지 여러 곳에서 수업을 합니다. 그런데 학교에서 진행되는 고3 과정은 목동이든 대치든, 경기 지역이든지 큰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모두 EBS 교재로 수업을 한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문제는 많은 학교들에서 3월에 개학을 하면 수능특강을 교재로 정하고 거의 기말고사 볼 때까지 이 교재만으로 수업을 한다는 것입니다. 기말고사를 볼 시점이면 인터넷 수능 2권, N제 1권, 수능완성까지 출간 되었을 시점인데 순진하게 학교 진도만 따라가다 보면 한 학기 내내 수능특강만 보다가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학교 수업은 중요합니다. 그렇지만 순진하게 학교 진도만 믿는 우를 범하지는 않기를 바랍니다. 학교 수업 진도는 진도대로 따라가되 EBS 교재 출간 계획에 따라 몇 월 달에는 뭘 풀고, 그 다음 달은 뭘 풀겠다는 나름대로의 계획을 가져야 합니다. 계획 없이 수동적으로 따라가다 보면 파이널 직전까지 머릿속에 남는 책은 수능특강 밖에 없을 수도 있습니다.
오르비에 올라오는 국어 공부법들을 보면 공감하는 부분도 매우 많고, 또 동시에 고개가 갸웃 거려지는 것들도 있습니다. 우리 모두의 목표는 동일하지만 목표로 향해서 가는 길은 자신이 처해있는 환경과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선생도 아는 척 하면서 공부법을 조언하고 있지만, 제가 제시하는 방법은 제가 걸어 왔던 길에서만 보였던 것이고, 다른 길을 걷는 누군가에게는 다른 방법이 있을 수 있겠지요. 그러니 저를 포함한 누군가가 절대적인 공부법인양 떠드는 이야기가 틀린 말은 아니겠지만 정답은 될 수 없다는 겁니다.
자신이 처해 있는 상황에 적절한 공부법을 찾고, 그 방법이 맞다고 믿고, 결과가 나올 때 까지 끝가지 달려 가보는 것이, 주위를 기웃거리며 시간을 낭비하는 것보다 더 옳을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여러 가지 조언하고 싶은 말들이 있지만 학생의 상황에 따라 세부적 방법이 다를 수 있고, 기본적 맥락 없이 글로만 표현하기에는 오해의 소지가 있는 말들이 있어 생략합니다. 현명하게 공부하고 노력한 만큼 결과를 얻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여러분과 저에게 마법같은 2014년이 되기를 소원해 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사실상 수능때 뽑기가 3개인 것 같은데 이걸 1년 다 써야되는게 맞나
-
몸이 약간 열기운 슬슬 올라오는거 같은데ㅠㅠ 기운도 없구요
-
현재 국어 현장강의를 강은양T, 김승리T 2개 듣고 있는데 재종 들어가면 시간이...
-
수학 실모 늦게 푼 사람이 벌칙으로 저녁사기
-
너무 귀찮다..
-
1컷 몇나올까요? 또 92점이면 백분위 몇정도 예상하시나요?
-
포니테일 0
흐흐흐
-
귀찮
-
MZ도파민컨텐츠를 반드시 피할 것....
-
작년에 시발점 수분감 뉴런만 닳도록 봐서 인강 보기가 매우 귀찮음 정병호T 좋으니까...
-
하려던 것 한 것
-
어디가 더 높아요?? 문과 기준 아님 비슷한가요?
-
원랜 걍 스블부터 들어가려고 했는데 27번 틀린게 걸려서 그 전에 개념 하나...
-
학교선택 지인중에 수능성적이랑 9평성적 22121인 분은 최저맞춰서 설의 자균 뚫고...
-
일요일에도 8시까지 학원을 와야하나.... 9시에 오는데 뭔가 일요일에만 다른...
-
ㄱㅊ게 했는데 미적분은 왜그렇게못할까요 아니 솔직히 나 자신만 생각해보면 못하는건...
-
개쳐맛없네 원영아.
-
각각 어느정도인가요?? 수시 기회균형과 더불어 정시 특별전형을 생각중인데,...
-
피램 언매랑 나랏말쌈 정도 있는것 같습니다 그냥 피램 하려고 하긴 했는데...
-
그냥 제 환상인 것 같긴 한데 어른들은 너무 머싯는거가타여.... 전문적이고 막
-
중3때부터 고1때까지만 해도 물리수학이 좋았는데 점점 갈수록 사회문제하고 교육,...
-
곧 500일이네 0
왤케 시간 빨리 가지
-
재수생 영어 0
작년에 평가원/수능에서 80점대 중후반 정도 나왔고 빈순삽은 어느정도 되어있고...
-
찍힐텐데 왜 25를그렇게낸거임??
-
심찬우 생감 1
생글 끝내고 생감 하려는데 아직 교재 판매 안하는거죠? 계속 국정원만 뜨네요
-
이적하신다니까 절대 그럴일이 없다며 부정하고 날조하지말고 자료 달라해서 알고 있는...
-
다맞을사람손들라고안하셧어 크아악
-
고대생들 필독 7
할거줏도없는데새미터갈까
-
캠프쪽에서 일해볼수 있으려나
-
진짜 꿀과목임 특히 현역들은 무조건 해야함
-
맞팔구 6
-
꼭 나중에 수의대가야지...
-
맞 팔 구 5
나도금테달아줘ㅜㅜ
-
이제 해설을 써야하는데 상당히 귀찮군요.
-
경북대는 사회복지학부 가톨릭대는 인문사회자전입니다! 과는 가대가 적성에 맞는데...
-
지난주가 폐급인걸지도...
-
가군이긴한데
-
맞팔구 0
-
맞팔구글 특 6
이미 팔로우하고있는 사람만 올림
-
추천 부탁 김재훈t 특강은 듣고있는데 특강 후도 고려해서 이것저것은 못하는...
-
첫번째 칼럼에서는 다인자만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자 두번째는 중간 유전이...
-
노래 틀고 혼자 근육 키우기 중인데ㅔ 너무 햄보캐
-
이것저것 새로운 시도를 해보는중
-
최대 3년 박을건데 책읽거나 양치기하면 속도 빨라질까요?
-
경희대 예비번호 0
예비번호가 초반은 아닌데 적게 뽑는과도 아니고 합격가능성이 있을까요
-
수학 조언 0
2등급 목표인데 수1 2가 너무 부족해서 그쪽에 집중하고싶은데 기하는 문제집만 풀고...
음 오늘 수특국어 다풀었는데 저렇게 한번 해봐야겠군요 ㅎㅎ 감사여
기출10개년n회반복하는데 ebs꼭 봐야 하나요?
꼭 봐야한다는 법칙은 없습니다. 제가 가르치는 학생들 중에도 ebs는 보지도 않아도 수능에서 백점맞는 친구들도 많이 봤습니다. 선택의 문제입니다.다만 ebs에 수록된 지문들이 실제 수능에 반영되는 상황에서 미리 봐 둔다면 익숙한 지문을 만낙게 될 테니 유리할 수 있겠지요. 적어도 수록된 지문 정도는 보는 걸 추천합니다.
문학이나 화작문지문을 말씀하시는거죠??
대체로 그렇습니다만 요즘은 비문학 지문도 비슷하게 나오더군요.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기출 분석하고 남는시간에 ebs한 번 봐야겠네요.
기출ㄹ분석은어떻게해요?ㅠㅠ
좋아요
인터넷수능,N제,수능완성 들 보통 각각 몇월달쯤나오나요? 수능특강까지 포함해서 몇번정도 보는게 알맞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