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쌤 [269904] · MS 2008 · 쪽지

2013-06-06 23:01:21
조회수 8,368

6월 모의평가 국어 문법 14번(문법 오답률 1위) 완벽한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ys.orbi.kr/0003700451

(305.2K) [2331]

6월 모의평가 14번 해설.pdf

6월 모의평가 14번

아라쌤의 너무나도 쉬운 문법 강의


수험생 여러분 안녕하세요~^ㅡ^
오르비에서 수능국어만점비법(http://class.orbi.kr/class/29/)과
문법꼭꼭씹어먹기(http://class.orbi.kr/class/28/) 무료 강좌를 진행하고 있는 아라쌤입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살펴볼 문제는 이번 6월 모의평가 문법 14번 문제입니다.
14번 문제는 아래의 EBS 정답률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국어 A형에서는 3번째, B형에서는 2번째로 낮은 정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먼저 문제를 한 번 더 풀어볼까요??
(내용 전체를 파일로도 올렸으므로 파일로 다운 받으셔서 보셔도 됩니다.^ㅡ^)




이미 분석을 해 본 학생들도 있겠지만 이번 문제는 높임법(주체 높임법,상대 높임법, 객체 높임법)을 물어본다는 측면에서 2005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 13번 문제와 주제가 동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제가 “문법 꼭꼭 씹어 먹기” 강의에서 강조했듯이 출제되는 문법 문제의 수가 증가했지만, 출제 가능한 주제는 이전의 기출문제(수능, 모의평가)에서 대부분 다 출제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여러분이 문법을 공부하는데 있어서도 가장 우선적으로 살펴봐야할 주제는 이미 수능과 모의평가에 출제되었던 문법 원리입니다.
그럼 2005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 13번 문제와 함께 높임법에 대한 공부를 해보도록 할까요?

       

번호

정답

오답률

선지별 선택비율

13

83%

4%

2%

6%

3%

83%


두 문제의 공통적 주제인 높임법에 대한 문법적 원리를 간단하게 표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종류

개념

특징

상대 높임법

말을 듣는 청자를 높임

(듣는 이를 낮추는 것도 포함됨

-해라체, 하게체)

해라체(낮춤)

하게체(낮춤)

하오체(높임)

하십시오체(높임)

주체 높임법

서술어의 주체를 높임

높임 선어말 어미 ‘-시’에

의해 실현됨.

직접 높임: 주어를 직접 높임

간접 높임: 주어와 관련된 대상을 통해 주어를 간접적으로 높임

객체 높임법

서술어의 객체(문장의 목적어나 부사어)를 높임

‘드리다, 뵙다, 모시다, 어쭙다, 저’ 등의 높임말, 낮춤말에

의해 실현됨

 

그렇다면 이제 걱정이 생길 수 있죠? 이런 문법적인 원리들을 모두 암기하고 시험장에 들어가야 하는 것일까요?
물론 앞서 강조했듯이 출제 가능한 문법적인 원리들이 이미 대부분 기출문제에서 출제되었으므로 이를 중심으로 공부한 후 다른 문법적인 원리들까지도 학습한다면 좀 더 자신감 있게 시험에 임할 수 있겠죠?
하지만 그러기엔 여러분의 학습 부담이 너무 증가합니다. 게다가 더욱 큰 문제는 수능 문법 문제는 여러분이 어려운 문법 지식을 얼마나 많이 암기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인 문법적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때문에 문법 문제의 수능적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않다면 문법 공부를 아무리 많이 하더라도 틀릴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다음 문제를 함께 살펴볼까요?


낯익은 문제죠? 여러분이 작년에 쳤던 예비평가 국어A형 12번 문제입니다. 이번 모의평가 14번 문제와 주제는 전혀 다르지만 문제가 갖고 있는 수능적 원리는 유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집중!!

12번 문제는 <보기>에서 문법적 원리를 설명해 주지는 않았지만 선택지를 잘 살펴보면 결국 목적어와 관련된 문제이긴 하지만 주어, 서술어, 목적어에 대한 구분을 제대로 할 수 있는지가 관건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 선택지 3번이 틀린 이유도 ㉤에서 생략된 것은 목적어가 아니라 주어라는 점이죠. 이처럼 우리는 문제에서 요구하는 바를 잘 이해하고 선택지의 구성 원리를 파악한 후 틀린 내용이 나올 수 있는 포인트를
잘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질 것은 안 따지고 안 따져야할 내용을 따질 때 주관적인 오답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그럼 다시 이번 모의평가 14번 문제를 살펴볼까요?

 

우리가 문제를 푸는데 있어서 필요한 문법적 원리를 암기하고 올 것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보기>에서 다음과 같이 모두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주체 높임법은 주어가 나타내는 대상인 주체를 높이는 것이며, 상대 높임법은 대화의 상대인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는 것이고, 객체 높임법은 문장의 목적어나 부사어가 나타내는 대상인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그럼 우리는 틀린 선택지를 만들 때 사용될 포인트가 되는 기준을 잘 정리해서 이해해야겠죠? 다음과 같이 정리해 봅시다.

①주체 높임법: 주어가 나타내는 대상인 주체↑

②상대 높임법: 대화의 상대인 청자↑or↓

③객체 높임법: 목적어나 부사어가 나타내는 대상인 객체↑

 

이제 출제 위원의 입장에서 생각해 봅시다.
결국 예비평가 12번 문제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틀린 선택지를 만드는 방법은 우선 선택지 ②번, ③번, ④번과 같이 주체를 객체라고 하거나 객체를 주체라고 하는 방법이 있겠죠.
그리고 이번에는 한 가지 방법이 더 있다는 거 눈치 채셨나요? 주체 높임법과 객체 높임법의 경우 높이기만 하지만 상대 높임법의 경우 높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낮추기도 하므로
이것이 또 하나의 포인트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실제로 선택지 ①번의 경우 이를 이용해 오답을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죠.

 

자~이처럼 여러분이 문법 문제에서 완벽해지기 위해서는 단순히 문법적인 원리에 대한 공부만 열심히 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에요.
오히려 그보다 중요한 것은 문법 문제가 출제되고 선택지가 구성되는 원리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한 문제에 대한 해설이 너무 긴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이번 해설을 통해 여러분이 앞으로 문법을 공부할 방향을 제대로 설정하고 좀 더 완벽한 국어 실력을 갖추길 바랄게요.
그리고 이번 모의평가 문제들 중 정답률이 낮은 다른 문제들에 대한 해설과 강의도 곧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여러분 모두 끝까지 파이팅!! ^ㅡ^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재수성공할뤠 · 447753 · 13/06/07 01:48 · MS 2019

    감사히 잘봤습니다!^^ 문법적인 지식이 부족하다고 느낌에도 불구하고 문제는 다 맞추었네요 .. !! 문법적인 지식이 부족하니까 문제 분석할 ㄸㅐ 어려움을 많이 겪어요.. ㅠㅠ어떡하면 좋을까요???

  • 아라쌤 · 269904 · 13/06/09 00:17 · MS 2008

    수능과 모의평가 기출문제에서 이미 출제된 문법적인 원리부터 점검해 보시구요~EBS에서 나온 <인터넷 수능>화법과 작문&독서와 문법이라는 책이 연계 교재니까 그걸로 공부하시면 될 거에요
    ^ㅡ^ 제가 오르비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법꼭꼭씹어먹기(http://class.orbi.kr/class/28/) 무료 강의도 꼭 한 번 들어보세요~~^ㅡ^ 또 궁금한 거 있음 언제든지 질문해 주시구요~~홧팅!!

  • 111111ysu · 389799 · 13/06/07 16:24 · MS 2016

    감사합니다.

    그런데 질문이 있습니다.

    이번에 '예사소리'나 '서술어의 자리수'등 이전 기출문제에서 나오지 않았던 문법적 개념들이 나오고있는데

    이건 어떻게 대비를 해야할까요? n수생이라 기출문제만 보고있었는데 문제를 풀면서 당황을 많이 했습니다.

    특히, 예전같은 경우에는 보기에서 예시로 주어졌기때문에 추론을 통해 파악할 수 있었는데 이번엔 그런것도 없이

    '당연히 암기해야할 것'처럼 어떠한 설명도 없더라구요.

    그래서 국어영역 인터넷수능 A 작문/화법/문법 이 책을 샀는데 이 책이 문법을 모두 아우를 수 있을까요?

  • 아라쌤 · 269904 · 13/06/09 00:22 · MS 2008

    네 ^ㅡ^ 다른 문제에서도 설명해 드리겠지만 문법도 수능적 원리가 중요하지만 문법 문제의 특성상 반드시 공부해야될 문법 개념이 존재합니다.
    기출 문제들을 통해서도 접해보지 못했던 문법적 지식들이 출제되었기에 당황할 수 있는 것도 당연하구요^ㅡ^
    제가 생각하기에는 기출 문제에서 활용되었던 문법적인 원리들과 함께 EBS에서 나온 수능 연계 교재인 <인터넷 수능>화법과 작문&독서와 문법이라는 책을 통해 공부하시면 될거에요.
    A형 치시니까 A 구입하신거 맞죠? ㅎㅎ 그리고 제가 오르비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법꼭꼭씹어먹기(http://class.orbi.kr/class/28/) 무료 강의도 꼭 한 번 들어보시면 좀 더 도움을 얻을 수 있으리라 봅니다. ^ㅡ^ 또 궁금한 거 있음 언제든지 질문해 주시구요~~홧팅!!

  • 갓죠 · 403818 · 13/06/08 07:30 · MS 2012

    난 왜 딴건맞추고 15번을틀렷을까 헿홓헿헣

  • 아라쌤 · 269904 · 13/06/09 00:24 · MS 2008

    ㅎㅎㅎ 왜 그랬을까요?? 근데 국어는 실수에도 분명히 원인이 있을 수 있고 만약 주관적인 생각으로 오답을 골랐다면 그 상황에서 어떤 것을 기준으로 그런 생각을 했는지
    그리고 앞으로는 어떤 방법으로 그런 주관적인 오류에 빠지지 않을 수 있을지 정확하게 해결하고 넘어가셔야 해요~~^ㅡ^ 한 번 점검해 보시구요~의문이 생기는 부분이 있으면 또 질문해 주세요~
    담 번엔 꼭 전부 다 맞아버리자구요~~^ㅡ^ 홧팅!!

  • BeKINGO人 · 422395 · 13/06/08 19:36 · MS 2017

    이거 객체이면 을,를 넣어서 읽고 주체이면 은는이가 등으로 바꾸어 넣어도 괜찮은 건가요?

  • 아라쌤 · 269904 · 13/06/09 00:28 · MS 2008

    오호라!! ^ㅡ^ 주체는 주어를 높이는 것이니까 그런 방법을 통해서도 확인해 볼 수 있겠네요~ 근데 객체 높임법의 경우 목적어만 높이는 것이 아니라 부사어도 높이는 것이니까 부사어의 경우에는 적용이 안 될 수도 있어요~ 그래도 주체인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손쉬운 방법으로는 사용해 볼 수 있겠네요~~굿!! 홧팅이에요~~^ㅡ^

  • 클랜시 · 443610 · 13/06/09 09:44 · MS 2013

    정말 감사합니다

  • 아라쌤 · 269904 · 13/06/11 02:20 · MS 2008

    네에~~^ㅡ^ 열심히 봐주셔서 저도 감사해요~~끝까지 함께 홧팅해요~~^ㅡ^

  • magicallee · 425146 · 13/06/09 21:26 · MS 2018

    국어는 실력도 실력이지만 실수 안하는 것도 중요한 것 같아요...3번까진 적절한 거 찾다가 좀 어렵네..한숨 쉬고 4번 보고 앗 틀렸다!! 하고 고른..
    거의 2번에 한번 꼴로 이런 실수 하는데..정신통일!!

  • 아라쌤 · 269904 · 13/06/11 02:21 · MS 2008

    반드시 문두를 잘 읽고 그래도 실수하신다면 문두에 읽으면서 '틀린'에다가 엄청 크게 동그라미나 별표 치고 푸세요 ㅎㅎㅎ 홧팅!!

  • magicallee · 425146 · 13/06/13 00:03 · MS 2018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