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빈슨64 [427512] · MS 2012 · 쪽지

2013-03-27 11:42:38
조회수 1,226

한국사 학습에 대한 조언 2- 끝부분, 무시하니?

게시글 주소: https://ys.orbi.kr/0003640972

http://orbi.kr/0003639706- 한국사 학습에 대한 조언 1

-----------------------------------------------------------

우리는 항상 맨 끝에 가면 집중력이 쭈르르르 내려갑니다.

맨 뒷단원은 보통 쉽고, 또 시험범위에 안들어 가는 경우도 많고, 이제 곧 겨울방학! 부왁ㅋ 으로 들떠 간과하기 싶습니다.

그,러,나. 한국사만큼은 그려셔서는 아니아니 아니되오!!


오늘 다룰 부분은 수능특강으로 따지면 20강, 경제성장과 통일노력 입니다.

그중에서 북한사를 제외한 경제, 사회, 문화파트에 대해 말하고자 합니다.

학생들이 의외로 이 부분은 잘 안보는 경우가 많더군요.

설마 이런게 나오겟어? 라고 말이죠.


사실. 국사나 한국 근현대사에서 이부분은 거의 안나왔습니다.(저도 이 부분을 기출로 풀어본 기억이 없네요..13수능 국사 보고 깜놀했다는..)

하,지,만 이미 13년도 수능 국사 8번에서 보다싶이 본격적으로 평가원은 뒷부분을 내기 시작했습니다.

게다가,  여러분은 한국 근현대사나 국사를 공부하는 게 아녜요.

한국사를 공부하는 거지요.

서울대 필수 과목이 아니었던 한국 근현대사, 어차피 전근대사에서 고난도 뽑아내고, 근현대사에서 어렵게 나오면 근현대사 선택자와 비선택자간 유불리가 크게 나녀서 못 냈던 국사랑은 다릅니다.

결국, 수틀리면 또 이부분이 나온다는 거지요.


문제는, 그럼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이 많은(의외로 내용이 있습니다) 내용을 단순히 아 이건 이거다 이런식으로 외우는 학생이 간간히 눈에 띄어 참 가슴이 아픕니다.

현대 경제중 고난도, 현대 사회,문화는 99% 시대상( 당시 정권의 정책이나 그무렵 있었던 일들)을 물어보지, 그 자체를 물을 수 없습니다.

왜? 교과과정에선 이런 일이 있었어~ 로만 나오지 이런 일이 정확히 무엇인가?는 배우지 않으니까요.



고로, 2013 수능 국사 8번 문제처럼 시대상을 알수 있는 지문을 던져주고 선지속에 사회,경제,문화를 넣거나(물론 이문제3,5 선지는 교과과정 외이긴 합니다;;)
밑에 문제처럼 거꾸로 내는 수 밖에 없다 이거죠.



1. 밑줄 친 이 무렵에 볼 수 있는 장면으로 옳은 것은?


경제 개발 계획이 추진되면서 산업화와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농촌 인구가 도시로 이동하면서 농어촌 인구는 크게 줄어들고 도시
인구는 급격히 늘어났다. 이는 농촌 인구의 감소와 고령화, 도시의
빈민 문제, 주택 교통문제들을 가져왔다. 이 무렵 일어난 광주 대단지
사건은 이 문제들과 관련된 대표적인 사건이었다.


노사정 위원회에서 회의를 진행하는 노조 대표
컬러 텔레비전 방송을 보고 있는 할아버지
③ 베트남에서 베트콩과 싸우는 김 하사
민주 정의당 창당식에 참여한 국회의원
고교 평준화 소식에 기뻐하는 학부모




이 초필살오의 문제를 풀어낼 수 있겟습니까? 문제는 이런 식으로 나옵니다.

지문이나 선지가 뻔한게 나오느냐 아니냐가 문제의 정답률을 가르겟죠.


이미 기출에서 평가원은 암시를 한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의 선택에 따라 1등급이냐 2등급이냐, 서울대를 가느냐 못가느냐가 결정될 것입니다.





제.발! 구석구석, 교과서나 수능특강 단 한 글자도 허투루 넘어가지 마세요.

허투루 넘어간 데서 변별력 잇는 문제가 나옵니다.




다음 편에선 한국사 학습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분들이 많이 갖고있는 착각을 깨주도록 하겟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