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변선생 [342667] · MS 2010 · 쪽지

2012-11-23 13:01:48
조회수 11,532

관계사절 안에 들어간 S+V는 삽입절?

게시글 주소: https://ys.orbi.kr/0003235943

 영문법책을 보다 보면 원서에서 설명되지 않는 내용인데 한국식 영문법 책에서는 설명이 나와 있는 것이 간혹 간혹 있습니다. 그리고 그런 내용 중에서는 수긍이 되지 않지만 다른 책에서 설명이 없다는 이유로 그냥 옳겠거니 넘어가는 것들이 있습니다. 관계사절 안에 나오는 "삽입절"이란 개념도 그런 것들 중에 하나라 생각됩니다.


 문법적으로 삽입절이라는 것은 보통 that절을 목적어로 취하는 I think, I am sure, they said 등의 표현이 문장 중간에 컴마, 대시, 괄호와 함께 들어가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삽입절의 전형적인 특성은 위치가 자유로워서 문장 앞뒤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외대에서 나온 논문에서 서술한 삽입절의 특성입니다.) 삽입절의 예를 보겠습니다.


He is, I believe, right. (그는 내가 믿기에 옳다.)

 

 이 문장에서 I believe는 앞 뒤에 컴마를 사용하고 있으며, 다음 문장들에서처럼 위치를 바꾸어도 의미의 변화가 없습니다.


He is right, I believe.

I believe he is right.


 이제 관계사절의 내용으로 돌아오겠습니다.


I had made some bad mistakes which should be corrected. (나는 고쳐져야 하는 몇 개의 나쁜 실수들을 했다.)

I had made some bad mistakes which I thought should be corrected. (나는 내가 생각하기에 고쳐져야 하는 몇 개의 나쁜 실수들을 했다.)


 위 두 문장에서 관계사절 부분을 다시 문장으로 전환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Some bad mistakes should be corrected.

I thought some bad mistakes should be corrected. 

 

 두 번째 문장에서 I thought를 절대로 삽입절이라고 표현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저 주절의 주어와 동사일 뿐이죠. 따라서 두 번째 문장으로 만들어진 관계사절에서 I thought역시 관계사절 안에서의 주절의 주어와 동사일 뿐입니다.


 I thought가 주절의 주어와 동사라는 증거는 또 있습니다. 첫 번째 앞뒤에 컴마가 존재하지 않는 다는 것,  두 번째 I thought를 문장의 다른 부분으로 보내면 그 의미가 바뀌게 된다는 점입니다.


 관계사절 안에 들어간 S+V를 삽입절이라고 설명하는 것은 영문법을 공식처럼 외웠던 것이 하나의 이유라 생각됩니다. 주격관계대명사 뒤에는 동사가 나온다고 외웠는데 갑자기 주격관계대명사 뒤에 S+V가 나와 버리면 그것을 설명할 방법이 없어지는 것이죠. 그래서 그런 S+V가 원래 그 자리에 있었던 것이 아니라 중간이 끼어 든 것이라 말하게 되면 공식의 정당성을 유지하면서도 공식에 어긋나 보이는 것 역시 설명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관계대명사 what으로 시작하는 표현들 역시 똑같은 규칙을 따라갑니다. 지금부터 관계대명사 what이 이끄는 관계사절을 통해서 이 내용을 한 번 더 보겠습니다. 


what he wants (그가 원하는 것)

what he wants to eat (그가 먹기를 원하는 것)

what I think he wants to eat (내가 생각하기에 그가 먹기를 원하는 것)


 첫 번째 관계사절은 He wants it. (그는 그것을 원한다.)의 구조에서 it대신 what이 쓰여서 앞으로 나간 형태이고, 두 번째 관계사절은 He wants to eat it. (그는 그것을 먹기를 원한다.)에서 it대신 what이 쓰여서 앞으로 나간 형태이며, 세 번째 관계사절은 I think he wants to eat it. (내가 생각하기에 그는 그것을 먹기를 원한다.)에서 it대신 what이 쓰여서 앞으로 나간 형태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다음 문장을 보겠습니다.


Among the red, yellow, and pink roses, Smurfette spots a white rose, and she thinks it is beautiful.


 이 문장에서 she thinks를 삽입절이냐고 묻는다면 거의 모두가 아니라고 말할 것입니다. 이 문장에서 굵은 글자로 표시한 and와 it은 접속사와 대명사입니다. 접속사와 대명사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바로 관계대명사입니다. 따라서 위 문장은 다음과 같이 바꿀 수 있습니다.


Among the red, yellow, and pink roses, Smurfette spots a white rose, which she thinks is beautiful.


 이 문장에서 사용된 she thinks는 삽입절입니까?



* 이런 내용에 대해 이런 반론이 등장할 수 있습니다. "삽입절이라고 해서 이해할 수 있고, 해석할 수 있으면 되는 것 아닐까요?" 하지만 주절의 주어동사라는 단순한 개념으로 설명가능한 내용을 굳이 문법적 정의에도 어긋나는 개념으로 설명하는 것에 어떤 이익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더욱이 종속절의 주어였던 주격관계대명사의 생략같은 현상은 "삽입절"이란 잘못된 개념 때문에 이해가 안되기 때문에 잘못된 내용은 바로잡는 것이 맞다고 생각됩니다. 다음 문장은 올해 330제 112page에 나온 주격관계대명사 생략 예문입니다. difference 뒤에 which가 생략되어 있습니다. many people believe가 삽입절이라면 이 부분을 빼버려도 문장이 성립되어야 하지만  many people believe를 빼버리면 문장이 깨집니다. 역시 삽입절이란 가정이 잘못되어 있음을 귀류법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The stereotype of the absent-minded professor underscores a difference many people believe exists between remembering and thinking.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92hk · 344809 · 12/11/23 17:45 · MS 2010

    음 저는 수식어구에 WH-movement가 일어난 현상이라고 배웠는데...

  • 상변선생 · 342667 · 12/11/23 18:16 · MS 2010

    맞습니다. 뒤의 관계사절 안에서 종속절 안에 있었던 성분이 Wh-로 바뀌면서 주절 앞으로 이동하는 현상입니다. 일반적인 Wh-movement 일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