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히달리는물천열차੭╹▿╹)੭⁾⁾ [943544] · MS 2019 · 쪽지

2020-08-09 20:34:19
조회수 743

교육과정은 아닌데 참고하기 좋네요

게시글 주소: https://ys.orbi.kr/00031515290


이것도 예전 교육과정에 있던 내용입니다. 그러니까 보이는 자료를 분석하는데 집중하고 개념에 초점을 두진 않을게요.


자료분석은 어떻게 하는지 보여주기 위해 가져왔습니다.


문제도 굳이 개념 없이 자료로만 풀 수 있으므로 선지분석까지 해 볼거예요. 이걸 익히려고 한다기보단 자료분석은 이렇게 하는구나~ 이걸 기준으로 보시면 됩니다.


먼저 자료 (가)를 보니까 산성화 물질 A가 유입되기 전 토양의 pH는 4, 5, 6, 7이고 A가 유입되고 나서 "pH 감소량"을 보면 기존 pH 대비 얼마나 줄어들었는가를 확인할 수 있죠.


눈에 보이는 걸 말해볼게요. pH가 4, 5, 6, 7로 갈수록 밑으로 뻗어있는 막대의 길이가 깁니다. pH가 클수록 A가 유입되고 나서 pH 감소량이 커진다는 얘기네요?


결국 경작지의 토양 pH가 클수록 pH 감소량은 커지는 셈이죠.


이제 자료 (나)를 보겠습니다. 지수함수 그래프처럼 생긴 그래프가 있네요. 이 그래프가 뭘 뜻하는 걸까요?


토양 pH에 따른 생산량이랍니다. 보니까 토양의 pH가 작아질수록 생산량은 급격하게 줄어드는 거 볼 수 있죠? 토양의 pH가 0.5씩 낮아질 때 경작지의 생산량은 토양 pH가 낮아질수록 점점 더 커집니다.


자료 (가)와 (나)를 "보이는 것"을 참고해서 나름 분석했어요. 이걸 통해 선지 ㄱ, ㄴ을 볼 수 있습니다.


선지 ㄷ은 읽어보니까 (가)와 (나)를 모두 봐야 풀 수 있겠네요.


이 경작지가 (가)의 (ㄱ)과 같이 산성화. 그러니까 A가 유입되기 전 토양의 pH는 6.0이고 감소한 pH는 0.4만큼이네요. 자료 (나)를 보니까 토양의 pH가 6.0일 때 생산량이 80이고, 5.5일 때 생산량이 75니까 생산량은 10톤/ha는커녕 5톤/ha도 감소하지 않았네요.


뭐 교과외 과정이지만 이걸 통해 자료분석에 대한 요령을 더 키우실 수 있으시길 바랍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