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수능 언어 예술지문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ys.orbi.kr/0002884920
12수능 언어 예술지문에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합니다. 언어고수느님들 성실한 답변 구걸합니다 ㅜ
기악음악이 정서론과 음형론을 통해서 일정한 의미를 가져야 하는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잖아요
근데 2,3문단에 단순히 정서론과 음형론 설명만 있고 기악에 적용이 안되어있고요
그래서 그 4문단에 봤더니 뭐 정서론을 음악구조에 적용 한다 이부분은 음조를 정서와 연결하여 정서를 나타냄으로
문제를 해결하는거 같은데요 음형론이 기악음악에 적용되어 문제를 해결한 부분은 잘 모르겠네요
'또한' 이 있으니 '또한'뒷부분은 정서론쪽이므로 '또한' 앞부분은 음형론이 기악음악에 적용된거 같은데
왜 그런지 모르것네요 수사학 이론을 끌여들여 음언어 설명한게 왜 음형론 쪽 부분인지... 모르겠네요
혹시 제가 잘못 짚은거라면 각각의 이론이 기악음악에 적용되어 문제를 해결하는 부분이 어디인지 알려주세요
진짜 암만 봐도 모르겠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생글 두 지문 풀고 강의는 하나만 들음 김현우t 7주차 수업 듣고 10문제 풀기...
-
이제 고2 올라가는 학생인데 지구1 얼마나 보고 들어가는게 좋나요? 예를 들어...
-
이과들 심지어 실수들도 다 사2나 사1과1 하면서 사문끼고 가는거 같은데 이대로면...
-
편집할때 방송키시는데 팬튜브들끼리 디코로 친목도 하고...
-
뭐임? 전 딸기인듯
-
오늘의 학습일기 5
왜 클릭
-
뭔가뭔가인데.. 정시 평백 자료 정확한건가요? 지방대 기준 뭔가 하나도 안맞는거...
-
오늘의 학습일기 0
전형태언매 끝
-
4대미드 종결 6
페쵸쇼피 이비메셔 커
-
https://orbi.kr/00065300203/ 왜 중국몽에합류하지않았지?
-
동강대 의대그거
-
오늘의 학습일기 1
노베 재수생 오늘도 순공 0분
-
학점 4.5받은 애들이 자기 성적 자랑하는 기만글 엄청 많이 올림 그곳에서는 학생의...
-
오늘의 학습일기 9
지금 시작된다. 한 6시 50분쯤
-
오늘의 학습일기 4
국어 문학 비문학 각각 두지문씩 풀었다 비문학이 약점인데 최근 정답률이...
-
첨 알앗네
-
불합인가
-
삼전은 9만원에삼
-
술약 연기됐다 2
끼얏호우
-
ㅅㅂ 못하겠네 ㅈㄴ 소듕함 우리 과외생들의 피와살인데
-
테슬라 5x만원일때 샀는데 살짝 쎄해서 한 +2퍼일때 팔았음
-
씨발 잃어도 되는 돈이 어딨어 그럼 나 줘.
-
유튜브에서 누가 그러던데
-
일단 자취 > 아마 전세로들어갈거같아서 방값 일단 제외하고 적당한 차한대 유지...
-
상남자 특 3
고점에서 테슬라x2삼 상남자 안할테니까 본전만 와다오
-
거이 다옴
-
저녁 ㅇㅈ 2
맨두
-
외대 사회과학계열 빠지신분 몇분정도 빠지셨을까요 외대 한국외대 경희대 중앙대 한양대 의대 휴학
-
기하 개념도 많이 어려운가여? ㅠ 암기가 좀 많다고 듣긴 했는데.. 절평이라 공부...
-
질문하다가 으악 2
작년에 의대조교쌤이랑 일대일로 수학질문햇는데 설명해주는거 듣다가 급 딴생각중 이엇음...
-
1차때 거의 다빠지는 건가요? 아님 2차에서 더 많이 빠지기도 하나요?? 학교는 경희대입니다!
-
내가 가진돈의 30퍼정도는 단타로 갖고놀아도 되지않을까 19
이정돈 할수있잖아
-
모두 맛저하세요 0
-
맞팔구함 3
나도 똥테 가보자
-
경희끼얏호우~ 0
1일 1 끼얏호우 외치기!
-
추억이네
-
대대대
-
아니씨발 법을 이렇게만드는게말이되냐?
-
개잘생겼엉
-
시스템 문제인진 모르겠는데 다음날 아침돼서 나오는 경우가 많던듯 2차부턴 제때 나옴
-
알려주싱분..
-
등록금고지서 출력할려는데 아이디랑 비번입력해야되는데 뭔지 아시는분..?
-
K-조선 호재…美의회, 동맹국서 군함 건조 허용법 발의 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해군력 강화를 위해 한국과 협력이...
-
삼반수 0
작수 12234인데 생명은 찍맞없이 41점으로 3등급이였고 지1은 평소보다 매우...
-
가천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가천대 25학번] [한국장학재단의 장학금제도]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가천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가천대학생들을 돕기...
-
이것도 나름 헬스하면서 자기관리 차원에서 하는거긴한데.. 제가 공부하고 집와서...
-
전재산 테슬라 매수 드가자 ㅋㅋ
-
진심이다 원딜 바뀜으로써 전라인이 살아날수도 있다니까?
? 기악에 적용이 되어 있는데요.'음형론'은 저는 '음의 형태' 내지 '형식'으로 이해했어요. 음형론은 특정 정서를 느낄 수 있는 화성이나 음률을 사용하는 것을 말해요.
[제시문]
(가) 서양 음악에서 기악은 르네상스 말기에 탄생하였지만 바로크 시대에 이르면 악기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장르를 형성하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게 된다. 하지만 가사가 있는 성악에 익숙해져 있던 사람들에게 기악은 내용 없는 공허한 울림에 지나지 않았다. 이러한 비난을 면하기 위해 기악은 일정한 의미를 가져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나) 바로크 시대의 음악가들은 이러한 과제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정서론’과 ‘음형론’에서 찾으려 했다. 이 두 이론은 본래 성악 음악을 배경으로 태동하였으나 점차 기악 음악에도 적용되었다. 정서론에서는 웅변가가 청중의 마음을 움직이듯 음악가도 청자들의 정서를 움직여야 한다고 본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한 곡에 하나의 정서만이 지배적이어야 한다. 그것은 연설에서 한 가지 논지가 일관되게 견지되어야 설득력이 있는 것과 같은 이유에서였다.
(다) 한편 음형론에서는 가사의 의미에 따라 그에 적합한 음형을 표현 수단으로 삼는데, 르네상스 후기 마드리갈이나 바로크 초기 오페라 등에서 그 예를 찾을 수 있다. 바로크 초반의 음악 이론가 부어마이스터는 마치 웅변에서 말의 고저나 완급, 장단등이 호소력을 이끌어 내듯 음악에서 이에 상응하는 효과를 낳는 장치들에 주목하였다. 예를 들어, 가사의 뜻에 맞춰 가락이 올라가거나, 한동안 쉬거나, 음들이 딱딱 끊어지게 ㉠ 연주하는 방식 등이 이에 해당한다.
==> 슬픈 가사나 행복한 내용의 가사에 따라 음이 달라지는 것이지요. 단조는 주로 슬픈 느낌을 주잖아요. 이게 음형론적 효과지요. 성악에서 사용했던 이 효과를 기악에서도 사용한다는 의미입니다. '정서론'을 통해 기악곡의 정서를 하나 정하면, 음을 그 정서에 맞게 표현하는 것이지요.
모차르트의 밝고 경쾌한 음을 들으면 그에 맞는 정서를 느낄 수 있잖아요. 비통해지지는 않거든요. 그게 음형의 효과지요.
차이코프스키의 '비창'을 들으면 실연의 슬픔인지, 가족의 죽음인지, 자신의 절망인지 확실치 않으나 '깊은 슬픔'을 느끼게 되는 것이지요.
(라) 바로크 후반의 음악 이론가 마테존 역시 수사학 이론을 끌어들여 어느 정도 객관적으로 소통될 수 있는 음 언어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기존의 정서론을 음악 구조에까지 확장하며 당시의 음조(音調)를 특정 정서와 연결하였다. 마테존에 따르면 다장조는 기쁨을, 라단조는 경건하고 웅장함을 유발한다.
(마) 그러나 마테존의 진정한 업적은 음악을 구성적 측면에서 논의한 데 있다. 그는 성악곡인 마르첼로의 아리아를 논의하면서 그것이 마치 기악곡인 양 가사는 전혀 언급하지 않은 채, 주제 가락의 착상과 치밀한 전개 방식 등에 집중하였다. 이는 가락, 리듬, 화성과 같은 형식적 요소가 중시되는 순수 기악 음악의 도래가 멀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실제로 한 세기 후 음악 미학자 한슬리크는 음악이 사람의 감정을 묘사하거나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음들의 순수한 결합 그 자체로 깊은 정신세계를 보여 주는 것이라 주장하기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