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치미찬휘 [339782] · MS 2010 · 쪽지

2010-11-19 05:32:39
조회수 14,002

2011 수능 26번 지면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ys.orbi.kr/00026406

(169.5K) [1402]

2011 수능 26번 문제 분석.pdf




안녕하세요
오르비 회원 여러분
티치미 김찬휘입니다.


지난 9월 모의평가 때....28번 문제 기억하시죠?
수많은 유의어로 가득 찬 지문에
선택지는 분수를 영어로 표현한 문제였습니다.
제가 여기 오르비에 지면 해설을 올리기도 했지요.


이와 비슷한 문제가 2011 수능에 출제되었습니다.
26번입니다. 이 글은 26번 문제의 지면 해설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제 해설강의를 참조해 주세요.


-------------------------------


So far as you are wholly concentrated on bringing about a certain result, / clearly the quicker and easier it is brought about / the better.


- so far as : ∼하는 한. bring about : 가져오다. 일으키다.


- “네가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 일에 전적으로 집중하고 있는 경우, 분명히 그것(it=the result)이 빨리, 그리고 쉽게 이루어질수록 더 좋다.”


- 내용은 쉽습니다. 뒤 부분의 구조는 [the 비교급, the 비교급] 구문입니다. the quicker부터 about까지가 ‘.....할수록’에 해당하고요....the better가 ‘....하다’ 부분입니다. 앞에는 [주어+동사]가 있는데, 뒤 부분은 달랑 the better만 있고 [주어+동사]가 생략되어 있어서 약간 어렵습니다.


 


Your resolve to secure a sufficiency of food for yourself and your family / will induce you to spend weary days / in tilling the ground and tending livestock;


- 맨 앞의 resolve 때문에 헷갈렸을 수 있습니다. 보통 [resolve to 부정사]는 동사로 쓰이죠. 그런데 여기서 resolve는 명사로 쓰였습니다. 어떻게 알 수 있죠? You가 아니고 Your라고 있기 때문이죠. Your가 resolve를 꾸며줍니다. 결국 여기서 resolve=resolution입니다.


- induce O to R = cause O to R


- till : 경작하다. tend : 돌보다.


- “너와 네 가족을 위한 충분한 식량을 확보하겠다는 너의 결심으로 인해, 너는 땅을 경작하고 가축을 돌보느라 지친 날들을 보내게 될 것이다.”


- 문단 독해의 핵심은, [주요정보가 어떻게 반복, 재현되는지]를 주목하는 것입니다. 수능에서는 특히 두 번째 문장을 읽을 때, 첫 번째 문장의 어떤 내용이 반복되는지 반드시 알아내야 합니다. 여기서 [secure a sufficiency of food]은 [bring about a certain result]에 대응됩니다. 그런데 [weary easier]는 대조관계죠. 따라서 문제가 발생한 겁니다. easy할 수록 좋은데....weary하거든요. 그렇다면 이쯤 예측할 수 있어야 합니다. 뒤에 해결책이 나오겠군.


 


but if Nature provided food and meat in abundance ready for the table, / you would thank Nature for sparing you much labor / and consider yourself so much the better off.


- spare A B : A에게 B를 면하게 하다.(A, B 목적어 두 개)


consider A B(A=B. 목적어+목적보어) : A를 B라고 여기다.


better off = richer


- “하지만 자연이 식탁에 음식과 고기를 충분히 제공해 준다면, 너의 큰 노동을 덜게 해 준 것에 대해 자연에 감사드리게 되고 스스로 더 풍족해졌다고 생각하게 될 것이다.”


- 이 부분의 내용을 첫 번째 문장 내용과 연결시키면.....[provide food and meat in advance] = [bring about a certain result]. [sparing you much labor] = [quicker and easier]. [better off] = [better] 자연의 도움으로 문제가 해결되었네요.


 


An executed purpose, in short, is a transaction / in which the time and energy spent on the execution / are balanced against the resulting assets,


- in which = [전치사+관계대명사]이고 which=transaction입니다. spent는 과거분사. [be balanced against]는 저울 양쪽에 같은 무게를 달아 균형을 맞추어 놓는 이미지를 떠올리면 됩니다. 따라서 [균형을 잡다. 비교대조하다. 대차 대조하다. 수지 계산하다] 정도의 의미가 됩니다.


- 여기서 당혹스러워 하는 분들이 있을 것 같군요. 어떻게 [목적=거래]의 등식이 성립하냐? 목적은 ‘실체’고 거래는 ‘행위’인데, 어떻게 이것이 등치되는 것인가? “달성된 목표는 거래다”(???)


- 이런 당혹스러움은 영어와 한국어의 차이에서 발생합니다. 다음의 문장을 보세요. A growing population means increasing consumption. “성장하는 인구는 증가하는 소비다.” 아까보다는 약간 낫지만 다음과 같이 바꾸면 더 한국말답겠죠? “인구성장은 소비증가이다” Bingo!!! 이 문장을 [인구=소비]라고 착각하면 안 됩니다. [인구성장]=[소비증가]인 것입니다.


- 아! 이제 이해하셨죠? 영어에서는 [수식어+명사] 구조에서 ‘수식어가 곧 그 명사의 보어’입니다. A strong guy란 말은 guy가 strong하다는 것이고, an annoying girl은 그 girl이 정말 짱난다는 얘기입니다. 따라서 executed purpose란 ‘purpose가 달성된다’는 뜻이 됩니다. 다시 번역해 봅시다.


- “목표 달성이란 간단히 말해, 거기(the execution)에 들이는 시간과 에너지가, 결과로서 생기는 자산과 맞교환되는(be balanced against) 거래(transaction)행위이다.”


- 즉 시간과 에너지를 쓰면서 자산을 얻는 행위가 목표 달성이란 얘기죠. 이것은 거래죠. 상품매매나 서비스매매와 똑같이 주고 받는 거래란 것입니다. 따라서 적게 주고 많이 받으면 장땡이겠죠? 당연히 그런 얘기로 넘어갈 수밖에 없습니다.


 


and the ideal case is one / in which the former approximates to zero and the latter to infinity.


- 여기는 빈칸이 있던 부분입니다. approximate가 동사로 쓰였네요. 형용사 뜻이 ‘대략의’이니까, 동사로 ‘...에 가까워지다. ...에 근사하다’ 정도의 뜻이겠죠? the latter 뒤에는 approximates가 생략되었습니다. 해석해 봅시다.


- “그리고 이상적 케이스는, 전자(the former=time and energy)가 0에 근사하고 후자(the latter=resulting assets)는 무한대(infinity)에 근사하는 것이다” 너무 당연하죠? 답 쉽죠? ㅋㅋ


- 이런 일이 실제에서 일어난다는 얘기가 아닙니다. 이런 것이 가장 ideal, 즉 ‘이상적인’ 상황이란 거죠. 아무 노력도 안 하고 아무 시간도 안 들여도 턱턱 필요한 물자와 서비스가 떨어진다면 얼마나 좋겠어요?


- 이것이 9월 모평 28번 문제와 비슷한 이유는, 역시 이것도 수학적 수식의 표현이라는 것입니다. 물론 그냥 영어로 해석해도 이해할 수는 있지만, 수식임을 안다면 훨씬 편합니다. 수학에서 어떤 수치가 어떤 값에 가까워지는 현상을 ‘극한’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approximate 동사는 극한값을 표현하기 위한 것입니다. 대충 표현하면 [lim시간에너지=0, lim자산=∞] 바로 이런 얘기입니다. 실제 시험을 볼 때 많은 학생들은 갑자기 왜 0이야? 도대체 infinity는 뭐야? 하면서 당혹스러워하셨을 겁니다.


 


Purpose, then, justifies the efforts it exacts / only conditionally, by their fruits.


- 이것은 제가 끊은 부분을 잘 끊을 수 있어야 제대로 해석됩니다. only conditionally와 by their fruits는 동격입니다.


- 아까 말한 것은 이상적인 상황이고, 실제에 있어서는 이게 결론입니다. 해석이 제일 어려운 부분이네요.


- “그렇다면 목표는 오직 조건부로만, 즉 그 노력(their)의 결실에 의해서만, 목표(=it)가 억지로 얻어내는(exact. 동사인줄 모르셨죠? ex=out +act .... 이해가시죠?) 노력을 정당화한다.” 뭔 말인지 모르시겠죠? 조금 한국말답게 바꿉니다.


- [목표가 노력을 억지로 얻어낸다]는 말은, 그 [목표 때문에 노력을 할 수밖에 없다]는 말이죠. [조건부]라는 얘기는 그 조건이 있어야만 성립된다는 얘기입니다. [정당화]라는 말은 [정당성을 부여한다] [정당성이 인정된다]는 뜻입니다.


- 한국 중등 교육에 인문사회과학 학습은 다 빠져있고, 오직 영어 공부만 시키다 보니, 영어로 읽든, 그것을 한국말로 번역해서 읽든,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게 됩니다. 사실 한국말로든 영어로든 그렇게 어려운 말이 아닙니다.


- “어떤 목표를 얻기 위한 노력의 정당성을 얻기 위해서는, 노력이 가져올 결실이 있어야 한다.” “결실이 노력이 정당화될 수 있는 필수조건이다.” [노력 -> 결실]. 노력을 했는데 결실이 없다면 그 목표는 정당성을 잃는다.


 


* 마지막으로 문단 전체의 유의어를 연결시켜 보겠습니다.


[secure a sufficiency of food] = [bring about a certain result] = [provide food and meat in advance] = [executed purpose] = [execution] = [resulting assets] = [the latter] = [fruits]


[quicker and easier] = [(not) weary] = [sparing you much labor] = [time and energy approximates to zero]


 


이제 왜 9월 모의평가 28번 문제와 같다고 한지 아시겠죠?


2012학년도 수능을 대비하는 모든 수험생들은, 이제 영어뿐만 아니라 폭넓은 인문사회과학적 식견을 갖추는 것이 만점을 위한 필수 요소임을 잊으시면 안 됩니다.


 


이상 티치미(www.teachme.co.kr)의 김찬휘였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