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tellar [682944] · MS 2016 · 쪽지

2019-11-14 22:25:03
조회수 6,935

[Castellar] 수능 지구과학1 풀어본 후기

게시글 주소: https://ys.orbi.kr/00025392616

안녕하세요.

Castellar 지구과학1 N제 저자 김효길 입니다.


글을 쓰기에 앞서, 오늘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른 수험생 분들께 수고 많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저는 수능 현장에 들어가지 않아서 오후 8시 30분쯤에야 문제지를 풀어볼 수 있었는데요.

답안지 마킹이나 현장 체감 등등 고려하여 30분 조금 덜 되는 시간을 두고 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



실제 현장에서 한 문제 한 문제에 대학이 걸려있는 수험생 분들의 입장은, 제가 집모의 형식으로 푸는 것과 매우 다르다는 것.

저는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 상황들을 최대한 감안하여 작성하는 글이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1. 난이도


사실 난이도에 대한 평을 하기는 다소 조심스럽습니다.

누군가에게는 굉장히 어려웠을 것이고, 또 누군가에게는 나름 풀어볼 만한 문제지였을 겁니다.

그리고 저는 (따지고 보면) 집모의, 여러분은 100% 리얼 현장 버전이기 때문입니다.



일단 오르비 글을 살펴보니 역대급으로 어려웠다는 평이 지배적입니다.



제가 이 시험지를 풀어 본 소감으로는, 수험생 분들의 입장에서, 4페이지에 접근한 후부터 시간이 빡빡했을 것 같습니다.


문제가 미친듯이 엄청 괴랄하다거나 지나치게 어려운 경우는 잘 없었습니다.

물론 난이도라는 것은 개개인이 다르게 느끼겠지만요.



그런데 문제마다 '정답을 찾는 과정'이 대부분 길었습니다.


즉, 내용이 어렵지 않더라도 '시키는 것'이 많으니 시간이 부족해진 겁니다.

한 문제당 30초씩만 더 소비하더라도, 3페이지 정도까지 다 풀고나면 7~8분을 더 소비한 셈이 되니까요.


전체적으로 정리하자면

시간을 잡아먹었을만한 문항이 많았고, 그에 따라 4페이지는 제대로 구경도 못하는 경우도 많았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몇몇 문항은 꽤 어려웠고요.


'기존 기출 문제지와 전체적인 느낌은 비슷하나, 뒤로 갈수록 체감 난이도가 꽤 높아졌다.'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나름 난이도가 높았던, 또는 현장에서 수험생 분들의 발목을 잡았을 문제, 또는 눈에 띄는 문제를 뽑아 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제 수능이 끝났기 때문에 별 의미는 없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궁금하신 분들은 읽어보시고, 아니면 넘어가셔도 좋습니다.



4번 : 실험 문제인데, 1페이지부터 시간을 잡아먹을 것처럼 생겨먹었기 때문에, 부담스러운 비주얼을 자랑합니다.. 다만 내용이 엄청 어렵지는 않았고, 실험 결과로부터 충분히 추정할 수 있는 정보가 주어졌습니다.

10번 : ㄱ선지 - 분자와 분모가 서로 같냐는 의미겠죠.. 숫자를 외워서 풀어도 슥삭 풀립니다.

10번 : ㄴ선지 - 대기의 창 ... 빈출 소재는 아니었는데, 출제가 되었습니다.

11번 : 그림 (나) 해석이 어려웠을 수도 있습니다.

12번 : D2에서 (나)를 해석할 때, 즉 ㄴ 선지에서 '점의 개수'를 단순히 '빈도'로만 오인하여 해석했을 여지가 존재할 것 같네요. 주어진 자료만으로 정체 전선의 위치를 파악할 때 당황했을 수도 있고요.

13번 : 파악해야 하는(스스로 결정해야 하는) 요소들이 기존 유사 기출에 비해 꽤 많습니다. 난이도 또한 쉽지만은 않습니다.

14번 : ㄷ 선지를 광구로 잘못 파악했을 가능성이 높을 것 같습니다. 밀도의 경우, 수능특강 연계이고, 카스텔라 N제에서 태양의 온도 및 밀도 그래프를 함께 그려서 직접적으로 다루었습니다.

15번 : 예전에는 생명 가능 지대 문제를 '거저 주는 1번 문제'로 생각했지만, 이번엔 그렇지만은 않은 것 같습니다.

16번 : 뭔가 지2스러운 문항에다가, 자료 해석에 애를 먹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조암 광물'과 같이 (지1 응시자에게는) 다소 낯선 단어도 등장했네요. 

17번 : 올해 모의평가 변형이지만, 표에서 정보가 많아서 부담스러웠을 것 같습니다. 시간도 많이 잡아먹었을 것이고요.

18번 : 대물렌즈의 '면적'에 조심했으면 좋았을 것 같습니다. 물어보는 내용 자체는 기존 기출과 특별히 다를 것이 없습니다.

19번 : 기존 기출과 난이도 및 내용이 유사합니다. ㄱ 선지에서 남반구의 밤의 길이를 물은 것을 보면, 수능을 호주에 가서 출제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20번 : 리얼 100% 남반구 문항이라서 조금 실망하기도 했고, 현장에서 당황했을 것 같습니다. 설마설마 하던 일이 진짜로 일어났습니다. 남반구에 대한 개념만 탄탄히 잡았다면 난이도가 엄청 어렵지는 않았을 것 같네요.




2. 구성


우선 우리가 흔히 말했던 '천구를 그려서 푸는 천체 관측 문항'이 많아야 2개라고 칠 수 있겠습니다.

좌표계 파트가 사라지는 개정 교육과정을 의도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럴거면 왜 천체를 공부했지 싶은 의문이 들게 했을 것 같네요.

그리고 그 2개 문항 마저도 모두 남반구와 엮어 놓았기 때문에,, 정말 실망스럽기도 합니다.


이제 확실히 '천체'보다는 '비천체' 파트에 비중을 두어 출제하려는 경향이 돋보였고, 결론적으로 비천체 파트에서 시간관리가 중요하다는 느낌을 주기는 하는데,, 개정 교육과정을 의도한 것이 확실한 것 같고,,

뭐,,,

이제와서 이게 다 무슨 소용이겠냐라는 생각도 많이 드네요.


그냥 수고 많았다는 말이 최고인 것 같습니다.




3. 예상 등급컷


사실 저는 지구과학을 잘 할 뿐, 대학 입시 전문가가 아닙니다.


그래도 나름 4년 동안 수능 지구과학을 다루어 온 입장에서 보자면,, 1등급 컷은 40점대 초~중반 정도에 형성될 것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참고로 작년 수능.. 꽤 어려웠음에도 불구하고, 1등급 컷이 40점대 중반이였죠..


물론 느낌이 딱 오는 1등급 컷 숫자(아마 이 숫자일 것 같다 싶은 점수)가 2개 정도 있습니다만, 지금 누군가는 예상 등급컷 1점에 심경이 크게 바뀌고, 최저 등급 충족여부 예상이 바뀔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따라서 '제가 생각하는 예상 1등급 컷'을 함부로 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제 '예상'일 뿐, 정확한 것은 아니니까요.


.

.

.


아무튼 수능이 끝났습니다.

모두 정말 수고 많으셨고,,

난이도에 대해 다시 언급하자면, 이번 수능 지1은 어려웠던 것이 맞습니다.

따라서 채점 후 원점수가 낮다고 해서 너무 낙심하지 마시고, 오늘은 그냥 푹 쉬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다른 의미로, 2009 개정 교육과정 수능이 끝났습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이제 지구과학 교과서도 대대적인 리모델링 공사를 겪었죠.


제 노트북에 쌓인 자작 문항들, 교재 원고, 연구 자료, 미완성 칼럼들이.. 이제 의미를 잃은 것 같은 기분이 들어 조금은 착잡하고 기분이 미묘하네요.


 

지난 3년 동안 Castellar 지구과학1 N제를 아껴주신 많은 수험생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오늘 수능을 치른 수험생 분들의 대학 입시를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